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란분재(盂蘭盆齋)는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에서 음력 7월 15일마다 설행되는 불교세시행사이다. 『불설우란분경(佛說盂蘭盆經)』의 목련구모고사(目連救母故事)에 의거하여, 하안거가 끝나는 자자일에 선망 부모와 조상을 위해 재를 지내는 것이다. ‘우란분’이라는 말은 거꾸로 매달리다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울람바나(ullambana)에서 왔다는 것이 통설이다. 우란분재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인도에서의 우란분재에 대해 전하는 기록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불교 발생 이전 인도의 조상제사 풍속을 고려할 때 동아시아로 불교가 전래되기 전부터 인도에서 설행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우란분재를 설행했다는 기록이 현재 전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일본에서 우란분재가 설행되었다는 기록이 전하고, 한국의 승려를 통해 일본이 불교를 받아들였던 당시의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한국에서도 고려 이전부터 우란분재가 설행되었을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궁궐과 사찰에서 우란분재가 성행하였다. 고려시대 국교였던 불교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상대적으로 세력이 약화되었으나, 조선시대에도 서민들 사이에서는 우란분재가 계속 전승되고 있었다. 이것은 유학자들이 남긴 우란분재를 비판하는 문집 기록들이 방증하고 있다. 근대에도 명맥이 이어진 한국의 우란분재는 오늘날 49재와 인경공양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우란분재에서는 연희도 베풀었다. 목련강 연행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기록에서 나타난다. 목련강은 오늘날 판소리처럼 강창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연행양상을 띠었을 것이다. 개화기 이후 일제강점기에 <목련극>, <목련기>, <우란분>이라는 제목으로 공연되었는데, 석가탄신일 등의 사찰 행사에서 공연되었다가 대중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일반 극장에서도 공연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란분재일에 공연된 예는 아직 발견되지 않는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목련희를 중심으로 한 우란분재의 연희활동이 명맥을 유지하며 전승되고 있는 중국의 경우와는 달리, 한국은 고려시대의 목련강과 일제강점기의 목련극 공연 사이에 공백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조선시대 우란분재의 연희활동이 현재 기록으로 전하지 않지만, 고려시대로부터 목련구모고사를 모티프로 한 연희활동의 명맥이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내려와 근대의 목련극이 존재할 수 있었을 것이다.


Wu-ran-bun-jae(hereafter Ullambana) is one of the most popular Buddhist rituals and festivals in East Asian tradition. The Ullambana is held annually on the 15th day of the seventh month in lunar calendar to release souls of departed ancestors from purgatory. In the Ullambana Sutra, the Buddha instructs his disciple Mok-ryeon(sk. Maudgalyāyana) on how to obtain liberation for his mother, who had been reborn into a lower realm, by making offerings to the sangha on the 15th day of the seventh month, which is also the day of pravarana, a ceremony performed on the last day of three-month-long summer retreat. While there are different theories on the origin of the Ullambana, this article extrapolated the Indian origination before the Buddhism spread to the East Asia. Based on the historical texts, almanacs, newspapers, magazines, and anthologies, Chapter 2 illustrated the history of Ullambana in Korea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day. The earliest extant document showing that the Ullambana was held in Korea is from Goryeo dynasty, however, this article addresses that there is possiblity of Ullambana in Three Kingdoms period inciting Japanese historical texts. The Ullambana was flourished in palaces and Buddhist temples in Goryeo. It was relatively weakened in Joseon dynasty, but it was still popular among ordinary people and was held in temples. Up to the modern day, the Ullambana has been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period. During the Ullambana, there was not only the food offerings, but also the performances. In Korea,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Mok-ryeon drama(ch. Mulianxi) is from Japanese colonial era. Instead, there was Mok-ryeon opera (ko. Mok-ryeon-gang) tradition, which is in similar form of pansori, in Goryeo, Korea. This article concluded that a form of performance must have been held in Joseon as the tradi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Ullambana was transmitted from Goryeo to modern da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