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 교양필수 교과인 <발표와 토론> 수업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는 교내 토론대회의 운영사례를 살펴보면서 교육적 함의와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토론대회를 기획하고 운영했던 경험적 고찰과 토론대회에 직접 출전했거나 참관했던 학생들의 설문조사 응답결과를 토대로, 향후토론대회 운영에 참고할 점을 제안하였다. 교내에서 비중 있는 비교과활동으로많은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토론대회의 교육 만족도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리더십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마련된 토론대회의 취지를 살린 발전적인운영을 위해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먼저 토론대회를 통해 학생들은 사회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토론의 의미와 본질에 대해 숙고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하였다. 수업만이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관련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해당 수업에서 지향하는 교육적 효과를 견인해 낼 수있다는 점을 교내 토론대회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토론대회가 향후 보다 의미있는 교육의 장으로서 진행되기 위해서는 설문조사 내용을 대회 운영의 전후과정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향후 교내토론대회는 첫째 학생들이 이러한 경험을 통해 대학의 정체성과 리더십 교양교육의 목적을 체화할 수 있도록 자극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토론 준비과정에서 학생들의 문제의식 제고를 위해 논제 공모과정 추가하여 사전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교내 토론대회니만큼 승패의 결과보다는 토론대회심사에 피드백 과정을 반영하여 교육적 목적을 강화하는 것이다. 넷째 토론대회종료 이후에도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토론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내토론대회 노하우와 콘텐츠를 대외적으로 확산하여 대학교양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나아가야 한다. 강의실 안팎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에 참여하면서 학생들은 알게 모르게 배움을 얻고 성장해간다. 따라서 대학 교양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해서는교내 토론대회와 같이 학생들이 수업에서 배운 것을 강의실 밖에서 체험하고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비교과활동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operating cases of university’s academic debating contest, which is related with liberal arts’ compulsory subject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 and seeks educational implic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the contest. For this, this paper suggests some operational references of future academic debating contest, based upon operator’s empirical study and the analysis of survey of participants of the contest. This paper confirm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cademic debating contest where lots of students participate as weighty non-class activities and also makes an attempt on critical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st operation to improve students’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acknowledged that they could contemplate the essentials of debat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depth understanding on social issues,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academic debating contest.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in-university academic debating contest, this research confirms that not only class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but also related non-class activities can create an educational effect. In order to develop this contest to a meaningful educational ground, the survey result should be applied in the operation of before and after the contest. Considering this fact, this paper suggests several important points; First, students have to learn the identity of university and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academic debating contest; Second, advance publicity, add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debate topic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boost students’ problem recognition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Third, considering the fact this is an in-university academic debating contest, educational purpose should be reinforced, rather than the outcome of win or lose, applying feedback process in the evaluation session of the contest; Fourth,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academic debating contest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have students keep interests on the debate after the contest. And the last, this paper mentions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by expanding knowhow and contents of in-university academic debating contest to outside. Students learn and grow up, taking part in various learning activities in inside and outside of lecture room. Thus, in order to ensure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various non-class activities like in-university academic debating contest should be prepared to let students experience and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during their class h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