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서사무가 자료 정리 방식을 번역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본격적인 번역의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텍스트인 서사무가가 과연 ‘번역’의 대상이 되는지를 따져보고, 구비신화가 미래에 전수해야 할 가치를 지닌 한국의 고전이란 점에서 그 가치의 재발견을 위한 충실한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채록 편수와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은 <바리공주>를 예로 들어, 채록 편수가 많은 것에 비하면 본격적인 주석서와 번역서가 매우 드물다는 점을 확인하고, 기존의 채록 방식이 무가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직역 대 의역’으로 표현되는 번역 논쟁을 참고하여, 구술 텍스트인 서사무가를 번역할 때 예상되는 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examine previous ways in which shamanistic epics have been recorded and complied, and to consider the need to include the act of translation in this process. In order to do so, I first discuss whether the shamanistic epic - being, after all, a Korean text - may be regarded as requiring translation. Then, using the example of the ‘Princess Bari’ epic, which is the most widely recorded and studied of the shamanistic epics, I examine how useful previous recording methods have actually been in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this shamanistic epic. Finally, I refer to the debate on literal vs liberal translation in exploring possible difficulties which may be experienced in translating shamanistic epics, given that they are orally transmitted text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hamanistic epic, ‘Princess Bari’, Recording, Translating, Literal translation, Liberal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