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0년 병인년은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해이자 매천 황현 순국 100년이 되는 해이다. 이에 맞춰 매천과 관련한 역사소설 두 편이 발표되었다. 『소설 매천야록』과 『매천 황현』이 그것이다. 그간 매천에 대한 학계의 각별에 관심에 비해 창작계의 반응은 냉담한 것이었다. 인물과 시대 모두가 소설화의 난관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런 시점에서 두 편의 근간은 소설적 공과와는 별개로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작품을 대상으로 각각의 내용상의 내용상 특징과 함께 양식상・구성상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소설 매천야록』은 매천이 뚜렷한 ‘민족 정신’을 확립하게 되는 정신적 성장 과정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그렇지만 여러 등장인물을 통해 표명된 ‘민족 정신’은 공적 역사에서 언급되는 외세에 대항하는 국권의식이나 민족 자주의식 등과는 변별되는 것이다. 민족의 시원과 정체성, 그리고 종교와 문명의 기원과 분화 등에 관한 작품상의 내용은 역사담론이라기보다는 학계에서 추인받을 수 없는, 믿음에 기초한 주관적 종교담론에 다름 아니다. 그리고 종교적 담론이 작품의 주조를 이룸으로써 인물군이 설교자와 피설교자로 이원화되어 인물의 성격화에도 실패하고 있다. 또한 『소설 매천야록』이 근대 초기 서사물의 특징인 서발 형식과 문답식 구성을 취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식과 구성은 효과적인 설교와 교화를 위해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차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매천 황현』은 매천의 일대기를 여러 자료를 활용하여 형상화한 작품이다. 작가는 ‘거의소청(擧義掃淸)’의 맥락에서 매천의 절명을 서사화하고 있는데, 작가는 이를 통해 매천의 순국의 의의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선비가 갖추어야 할 학식과 인품을 매천의 성격에 부여함으로써 선비이자 애국지사로서의 매천의 형상을 공고히 하고 나아가 공적 역사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매천 황현』은 역사소설과 보고문학의 결합하는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인에 대한 비판의 불명료함과 서술자의 과도한 개입으로 인해 각각의 형식적 특징을 훼손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styles and structures of Novel MaecheonYarok(소설 매천야록) and Maecheon HwangHyun(매천 황현). In chapter two, the study figured out that "Novel Maecheon Yarok" positively reflected religious narratives and adopted an early modern narration style. "Novel Maecheon Yarok" embodied the process of mental growth to establish apparent national spirit. However, national spirit expressed through diverse characters in the novel is different to awareness of national sovereignty or autonomy against foreign influence in public history. The contents of the novel dealing with origin and ratification of religions and civilizations seem rather religious than historic which finds it hard to be acknowledged by an academic circle. With religious narratives in the center of the novel, it fails to personify the characters as it simply classify the characters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preached. And the novel takes up 'prologue and epilogue' structure and 'question and answer form' which seems to be adopte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for a effective preaching and edification. Chapter thre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dissonance of "Maecheon Hwang Hyun" in spite of that it solidified the character of a patriot of Maecheon, and added a reportage for criticism and enlightenment to the intell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onification of Maecheon by characters in the novel. In doing so, the writer of the novel narrativized his death as a sacrifice for the country in terms of 'Geo-ui-so-cheong(擧義掃淸) and imbued desirable characters that any classical scholar should equip into the character of Mae-cheon. It solidified the character of Maecheon as a man of a scholar and a patriot leading to reinforcing public history. Besides, "Maecheon Hwang Hyun" is uniquely structured by combining a historic novel and a reportage, but at the same time it destroyed each style due to the uncertainty of criticism against the intellects and inordinate intervention of the nar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