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미인계’라는 작품군으로 묶이는 가사가 지닌 감성이 같은 미의식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한다. 이에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과 곤파 류도관의 <사미인곡>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이 겨냥한 의식 즉, 그들이 표현하고자 하였던 미의식과 그 기층의 감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어디에서부터 나오는 것이고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 외적 배경을 밝혀 작품들의 산출 기반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에서의 배제가 가져오는 감성을 분노로 보았으며 분노하게 하는 대상에 따라 분노의 차이가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작가가 느끼는 분노가 가사 작품의 텍스트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논의했다.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wonder about whether it could be considered as that different authors' Gasa works classified in the same title category ‘Miin’ were expressed in the same esthetic sense. So this study selected Jeong Cheol’s <Samiingok> and Ryu Do-Gwan's <Samiingok> as the research target, and tried to identify about what differences the both works showed in terms of both author's esthetic sense and its underlying emotion, where the differences were come from and what meanings the differences could have. For them,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making the works be created by revealing their external backgrounds. Through the process revealing the external backgrounds, this study considered the emotion being brought by the authors'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hips as the anger,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anger according to the objects making the authors get angry. And based on that,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anger felt by the both authors were expressed in the texts in their Gasa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