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변호사법에 규정된 변호인선임서 등의 경유제도는 애초 변호사 명의도용 방지와 지방변호사회의 재정상 필요에 의해 회칙에 규정한 것을 대형 법조비리 사건들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법조비리를척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도입되었다. 그 이후 특정변호사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제도로 그 기능이더욱 중요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각 지방변호사회가 담당하는 경유업무는 그와 같은 본질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우선 경유업무와 관련된 지침을 제정하지 아니한 곳도 있고, 심지어 경유증표에 일련번호가 없는 곳도 있다. 또한 경유업무지침이 각 지방변호사회가 제정한 회칙에 따른 적법한 절차를 거쳤는지에 관하여 논란이 되는 곳도 있다. 그리고 경유업무처리의 편의를 위해 도입한 인터넷 경유업무시스템은 경유일자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특히 경유증표 사용일자를 아무런 제한없이 사후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허용한다면 이는 변호사법이 규정한 사전 경유의 원칙을 위반한 것일 뿐만 아니라 특정변호사의 요건을 구비하였음에도 지방변호사회가 법조윤리협의회에 제출하는 특정변호사 명단과 사건목록에서 누락되어 특정변호사제도를 운영하는데 심각한 왜곡을 초래한다. 또한 법무법인의 경우에는 실제 사건을 수임하지 않은변호사를 담당변호사로 입력하는 방법으로 사건 수를 축소하여 특정변호사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도있다. 따라서 수임한 사건을 누락하거나 축소하여 특정변호사가 되는 것을 회피하여서는 아니된다는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유증표 입력기한에 관한 규정을 둔 지방변호사회의 경우에는 그규정과 변호사법의 사전 경유제도와의 관계를 둘러싼 해석론이 문제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경유증표를 반드시 오프라인에서 구입하도록 하나, 변호사나 법률사무소의 사무직원이 특정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 온라인으로 지방변호사회나 대한변협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이를 구입하는 방법을 통해 변호사 명의도용을 방지하면서 오프라인을 통해 구입하는데 따른 시간상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경유증표의 분실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현재 각 지방변호사회가 담당하는 경유제도는 그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에는 관리가 제대로 안 되고, 주로 지방변호사회의 재정 수입 확보 측면에서 운영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방변호사회가 경유제도를 통해 철저하고 체계적으로 소속 변호사에 대한 감독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변호사법을 개정하여 대한변협이 경유제도를 주관하면서 통일적인 경유업무지침을 정립하여 변호사에 대한 감독 기능을행사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Mandatory passage through local bar association when submitting letter of designation of counsel was first introduced as part of local bar association bylaws to prevent illegal misuse of attorney names and meet financial needs of local bar associations, but was later enacted into Attorney-at-Law Act to eradicate judicial corruption, in response to huge corruption scandals. Passage of letter of counsel designation through local bar association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because it now consists pillar for regulation of ‘Specific Attorneys-at-Law’. However, the way local bar associations carry out relevant tasks makes it difficult to meet the intrinsic purpose of mandatory passage. First of all, there are associations without guidelines regarding mandatory passage, and some of them do not even stamp serial number on the certificate of passage. Also, in some association, there is controversy going on whether guideline for mandatory passage has been adopted in accordance with legal procedure set forth in bylaw of the association. And internet system which has been adopted to facilitate the procedure poses a problem because it can not verify the date of passage. Allowing ex post entry of passing date on certificate of passage does not only violate the Attorney-at-Law Act, which mandates ex ante passage through local bar association, but also negatively impacts implementation of ‘Specific Attorney-at-Law’ clause of the Act, because it can lead to omission from the list submitted by local bar association to the Legal Ethics and Professional Conduct Council of names and case lists of attorneys who qualify as Specific Attorneys. Also, a law firm can falsely register as attorney in charge of the case the name of attorney who is actually not, in order that certain attorneys can avoid becoming Specific Attorney-at-Law. Thus, prohibition of deliberate omission of names and case lists of attorneys-at-Law must be enacted into law. In case of local bar associations that allow ex post submission of certificate of passage, their guidelines can conflict with the rule of ex ante passage mandated by the Attorneys-at-Law Act. Currently, certificates of passage are sold offline only. To expedite procedure and prevent illegal use of attorney names at the same time, allowing attorneys or their clerks to buy them online using special authorization certificates is recommendable. The current passage system administered by local bar associations is not fulfilling its intrinsic purpose, and is only aiding financial needs of local associations. If local bar associations are not able to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supervise attorneys through passage system, the Act must be amended to transfer that authority to Korea Bar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