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대학생들이 민주주의 이슈와 관련되는 사회적 논쟁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한다. 최근의 청년실업문제를 생각할 때, 대학생들은 비정규직 문제 등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 해결을 요구할 것 같다. 혹은 노동자들에 대한 아주 든든한 연대성을 표출해야 함이 마땅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들은 “무조건적인 연대는 거부한다!”고 매우 당당하게 말한다. 나는 대학생들의 이러한 인식이 어떤 상황에서 출발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는 당연히 이들의 취업문제, 정확히는 이 문제에 대한 ‘해석’과 직결된다. 이 연구는 이를 보다 구체화한다. 대학생들은 ‘입학 순간부터’ 취업문제에 대한 고민에 빠진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당연시되는 사회적 분위기에 순종한다. 주목될 지점은 이러한 과정이 단순한 취업준비의 차원이 아니라, 자아의 성장을 위한 ‘자기계발’이라는 차원에서 행위자에게 각인된다는 것이다. 그 순간, 취업현실은 사회적 문제가 아니라 철저하게 개인의 차원에서 ‘극복’되어야할 현실이 된다. 이 상황에서 사회구조의 모순에 관한 담론이 논의될 틈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것이 ‘스스로가 할 수 있는,’ 혹은 ‘스스로 해야 하는’ 의지의 차원에서 해석된다. 게다가 이들은 이러한 인식의 기반을 민주주의의 기초라고 이해하고 있기에, 이러한 시각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를 평가하는 것에 어떠한 부담감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 상황에 대한 구체적 질문을 던진다. 도대체 대학생의 자기계발은 어떤 스타일이며 어떻게 구축되었을까? 그리고 이러한 자기계발 스타일을 바탕으로 이들은 여러 사회적 논쟁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The paper aims to comprehend democratic values about labor which is understood by the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recent youth unemployment problem, the university students might demand active social solution about the temporary employee issue etc. Or they should express very strong solidarity about laborer. But they say very confidently that “we reject the unconditional solidarity!” I planned to confirm this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in what kind of situation it has begun. This is connected to their ‘employment problem.’ This study materializes this issue. The young people in their 20s agonize about the employment problem from the moment they become a university student. And they are obedient to social environment that an effort to overcome the problem is natural. The noticed point is that this process is not a dimension of simple preparation for employment but will be imprinted to the doer in the aspects of ‘self-development’ for their growth. At that moment, the employment reality becomes an actuality to be ‘overcome’ in the individual level vigorously but the social problem. In this situation, there is no gap for discussion about contradictions of social structure. Everything is interpreted in terms of will which ‘can be done by you’ or ‘must be done by yourself.’ In addition, they understand about the base of this awareness as the basic of democracy, so there is no restriction to evaluate the temporary employees. This study asks a specific question about this situation. What is the self-development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how could it be established as their style? What is democracy which they understand based on this self-development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