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광화문광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을 조성해 여가와 문화의 공간을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지난 시절 시민들을 위한 광장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현재의 움직임은 의미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서울시의 광화문광장은 광장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인 시민들의 정치적 의사소통과 참여의 기능을 배제함으로써 광장의 기능적 균형성을 상실하고 있다. 문제는 여가와 문화의 장소로 요약되는 광화문광장의 이면에는 권력의 새로운 논리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적 원형과 현대사적 관점에서 살펴볼 때 광화문광장은 통치자와 피치자 간의 의사소통의 장이었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능동적 정치행위의 공간이었으며, 그러한 사실은 광화문광장에 민주적 개방성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정당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a critical reflexion on Gwanghwamun square. Seoul municipal authority offers citizens a open space for leisure and culture with the construction of this square. Considering that in past, there was not any square for citizens, it may be very significant. But, that from the Gwanghwamun square is excluded a possibility of civil politic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rends it out of balance.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consist in fact that a new logic of political power exists in Gwanghwamun square defined by municipal authority as space for leisure and culture. In the light of the historic archetype and the contemporary dynamic of this square, we can see that it was not only the political field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ing and the governed, but also the space for civil political action. These two facts may offer a logical legitimacy to the argument that Gwanghwamun square must be given a political role of democratic openness for citiz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