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87년 창립된 진보적 여성운동단체인 한국여성민우회 운동의연속성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가들에 대한 심층면접과 민우회 활동 참여의 경험, 민우회의 출판물과 내부자료 등을 분석했다. 이 글의 주요 논지는 운동의 연속성을 설명되어야 할 운동의 결과로 보면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사회운동의 집합적 정체성에서 찾는다. 즉민우회 운동의 연속성을 가능케 한 집합적 정체성의 핵심은 진보성과 대중성이었으며, 그것의 구체적인 실천은 생활정치임을 주장한다. 민우회 운동의 생활정치는 지역여성운동의 생활정치, 공사 경계에 도전하는 생활문화 운동, 여성노동 의제의 개척과 공론화라는 세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민우회운동은 여성과 가족의 삶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의제들에서한국사회의 가부장적 요소들과 젠더 불평등의 지형을 파악해내고, 그것의 변화를 모색했기 때문에 진보적이며 대중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continuity of Korea Womenlink (Han-guk Yosong Minwoohoe) as a progressive women’s movement organization which was established in 1987. It takes the notiton of continuity as a result to be explained and explores the continuity of collective identity through time. Data analyzed in this article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 with activists, participation, and publications and unpublished document in Korea Womenlink. This article argues that key collective identities that enable Korea Womenlink persisit over 20years are progressiveness and popularity and the identities have been elaborated through everyday life politics.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the everyday life politics were local women’s activism, public campaign for equal everyday culture, and activism for valuing care work and motherhood in the labor market and the family. Activism of Korea Womenlink has been progressive and popular in the sense that everyday life politics can subvert the distin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worlds and influence the changes of gender in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