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의 형성을 돕기 위한 부모의 진로지도 및 상담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에서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진로정체감과는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진로결정, 진로정체감간에는 모두 상관이 있었다. 넷째,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진로결정, 진로정체감과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 모두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진로정체감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작용적 측면에서 볼 때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진로결정, 진로정체감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높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서는 진로결정과 진로정체감 형성에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부모-자녀간의 어떤 의사소통방법과 진로지도가 청소년의 진로결정을 촉진하는지에 대하여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in adolescents. For these purposes, the magnitud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fficacy, career-related variables was measured for 278 adolescents(153 boys, 125 girls). The methods used in analyzing the data are Pears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communication(open family communication-problems in family communication) and mother's communication(problems in family communication). Only mother's communication(open family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variabl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areer decision variables. Fourth, In sense of career decision variables, father's communication (open family communication) and mother's communication (open family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