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청소년기 내재화 문제는 정신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후 성인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발달적 문제이다. 청소년기 내재화 문제에 대한 다양한 환경적 맥락의 영향을 고려한 선행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시간에 따른 환경적 맥락의 변화에 대한 내재화문제의 변화를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 대표적인 부정적인 환경적 맥락인 빈곤요인의 변화에 따른 내재화문제의 발달궤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자료로 서울아동패널연구의 5차년도(중2)에서 8차년도(고2)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기 내재화 문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기 빈곤요인들 중에서 임대아파트에서의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중2시기뿐만 아니라 고2시기에도 빈곤한 청소년들의 경우 두 시기 모두 빈곤하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내재화 문제의 발달궤적에는 청소년기 빈곤 요인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빈곤은 그들의 내재화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초기부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빈곤한 청소년들이 보이는 내재화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when severe, is connected to various mental disorders and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process which can influence adulthood.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which have considered the influences of various environmental contexts regarding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have examined the changes of internalizing problems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contexts over time.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chang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s due to the factors related to poverty that are representative of negative environmental contexts.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4 year (8th to 11th grades) longitudinal data from the Seoul Child Panel Study.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a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s has increased across time. Adolescents who have lived longer in public housing and were poor in both periods i.e. 8th and 11th grades relative to not being poor in both of them have higher scores in internalizing problems at the 8th grade.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poverty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s. In sum, the results imply that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problems should be the subject of early and active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