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31년 7월의 만보산 사건 이후 반중국인 폭동에 대한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일제의 책동설이고, 다른 하나는 민족주의 폐해론이다. 그러나 필자는 1931년 반중국인 폭동의 중심 원인은 급격한 중국노동자의 유입, 그로 인한 조선노동자와 갈등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계급 내 갈등을 조장했던 측은 중국노동자 유입으로 이득을 본 자본가, 지주, 인력 브로커와 조선총독부였으며, 구조적으로는 노동청부제, 식민지자본주의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또한 폭동의 행위 주체와 공간에 좀 더 집중해볼 때, 1931년의 반중국인 폭동은 도시화의 긴 역사 속에서 일어난 사회갈등 중 하나로 읽힐 수 있다. 계급 내 갈등 위에 민족 간 갈등이 겹쳐진 식민지 조선의 도시폭동으로 볼 수 있다. 신설리 패의 중국인 숙소 방화사건은 당시 반중국인 폭동의 한 사례에 불과하고 전형적 모습이라 하기도 힘들지만, 폭동 전체의 특징들이 곳곳에 반복되고 있다.


The viewpoints on anti-Chinese riots after Wampaoshan incident in July 1931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 a theory that Japanese empire maneuvered behind the scene, and another theory that it was a harmful consequence of Korean nationalism. However, the present author argues that the main reason of the anti-Chinese riots was the sharp increase in influx of Chinese labor and the following conflic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laborers. The ones who aggravated the strife between classes, and the enmity between minorities were capitalists, landowners, and manpower brokers who made a profit on the influx of Chinese labor. In terms of structure, these riots were one of the results of colonial capitalism. Also, focusing on the agent of the action and the spacial background, this anti-Chinese riot in 1931 can be read as a manifestation of the conflict between urban poors at marginal area on the basis of a long history of urbanization. The case that Sinsulli clique, the lower class living in urban periphery, fired the Chinese residence inside the racetrack evident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anti-Chinese ri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