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2008년부터 2년간 ‘시집살이 이야기 조사 연구’에서 발굴한 시집살이담 중 한국전쟁과 관련된 여성 노인들의 서사에 기초하고 있다. 이 글에 등장하는 19명의 여성 노인들은 대개 한국전쟁 당시 10~30대였는데, 3명을 제외한 16명 모두 기혼자였고, 시집살이를 하고 있었다. 기존 남성들의 전쟁 서사가 주로 무용담에 바탕을 둔 것이라면 여성 노인들의 시집살이 경험에 비친 전쟁 서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띠고 있었다. 우선 여성 노인층들은 전쟁 서사를 회피하고 싶거나 생략하고 싶어 했다. 둘째, 여성 노인들이 기억하는 전쟁은 경험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6·25 사변은 6월 난리, 동짓난리 등으로 호명되었다. 또한 국군=선, 인민군 또는 중국군=악이라는 반공주의적 이분법에서 탈피하고 있는 서사들이 발견되었다. 셋째, 한국전쟁 중 시집살이는 대개 남편의 부재와 빈곤으로 기억되었다. 군대 징집 연령인 20, 30대의 남편이 징집된 후 아내로서의 여성은 남편의 대리자로서 가족을 부양하는 책임을 지면서도 시집식구들로부터 억압적인 관리를 받아야 했다. 넷째, 여성 노인들은 남편의 부재 속에서 시집살이를 하면서 오히려 나쁜 남편일지라도 남편과 동반해야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아가 여성 노인의 서사 속에서 남편의 부재와 고된 시집살이, 빈곤의 고통을 통하여 부정적 여성의 자아인식보다는 고난을 이겨냈다는 점에서 자신을 영웅시하는 일종의 영웅의식도 발견할 수 있었다. 개인차는 있지만, 그 여성들은 전시의 수동적·피해자적 위치 속에서도 가부장적 가족을 수호하며, 간혹은 국가 이데올로기나 반공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This paper is founded on 19 elderly women’s narratives on the Korean War, which were discovered in their Sijipsali narratives investigated for 2 years from 2008, i.e., narratives of women who had lived with their husband’s parents and families. The 19 elderly women were from the 10s to the 30s during the Korean War, and 16 of them were married and lived with their husband's parents and families. While men’s war narratives were mainly based on their heroic exploits, elderly women’s war narratives showed the following. Firstly, they wanted to evade or drop the war narratives. Secondly, their memories on the war were based on their experience. For an example, several persons among them called the Korean War ‘the June War’ or ‘the November War’, etc. And they might have little anti-communist dichotomical consciousness that South Korean army was good and North Korean army was evil. Thirdly, their Sijipsali narrative was remembered as that of their husband’s absence, extreme poverty, and severe discrimination by their husband’s families during the war. After their husbands were conscripted during the war, they had to support their children and husband’s families on behalf of the husband. Fourly, the women had realized that although the husband was bad, a bad husband was better than absence of husband. Lastly, they seemed to have a kind of heroine consciousness that they had overcome such adversities.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vidually, they sometimes played the same role to protect a patriarchism,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