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조선의 輪栽式은 동시기 유럽의 輪栽式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한 농법이었다. 그에 비해 밭작물의 노동생산성은 시간이 지나날 수록 오히려 하락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같은 양의 곡물을 생산하기 이해서는 더 많은 일손을 들여야 했던 것이다. 조선후기 밭농사에서 확인되는 토지생산성의 상승은 비료의 多投에 근거한 것이 아니고, 노동력의 多投에 근거하고 있었다. 多品種少量生産을 내용으로 하는 밭농사의 다각화는 농산물을 시장에 출하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고, 자가소비를 위한 것이었다. 농부들은 자신이 소비할 계획으로 다양한 작물을 소량으로 재배한 다음, 먹고 남는 것이 있으면 장시에 내다 팔았던 것이다. 이같이 조선후기의 농사 발전방향은 토지생산성의 상승과 노동생산성의 하락을 내용으로 하는 집약화와, 농산물의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다각화로 요약된다.


In the 19th century the crop rotation method practiced in Chosŏn proved greatly superior to that practiced in the same age in Europe. By contrast as time passed the marginal productivity of labor for dry field crops declined. Increasingly additional labor was needed to produce the same quantity of grain. The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of land in the late Chosŏn period was not based on increased use of fertilizer, but rather from the increased use of labor. The increase in varieties and the small-scale of production that marked the diversification of dry-field farming was not done for the purpose of send goods to market but rather for self-consumption. After cultivating small quantities of a variety of crop according to a plan for consumption, if any surplus remained farmers took it to market for sale. In this way the trends in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the late Chosŏn may be summarized as intensification marked by increased productivity of land and decreased productivity of labor, and the diversification of agricultural crops grown for the purpose of self-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