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갈퉁, 벤야민, 아렌트, 지젝을 중심으로 근대적 문명화 기제와 폭력의 상호연루성에 대한 이들의 문제의식이 폭력의 이론화나 개념적 분화 과정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피고, 이 이론들 사이의 상호연관성이나 차이, 그 의미와 문제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갈퉁의 폭력 개념은 문명화 과정이 동반한 제도화된 폭력에 대한 실질적 비판을 가능하게 하지만 국가가 독점한 폭력의 합법성 등 문명화 과정의 정상성 자체에 도전하지 않는다. 이는 제도적 개선이나 정책적 고려를 도외시할 수 없는 평화학의 현실과학적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반면 벤야민, 아렌트, 지젝의 폭력 개념은 문명화 과정과 폭력을 대립항으로 상정하는 근대적 통념과 정면으로 대결한다. 이들의 이론 속에서 법, 정치권력, 자본주의 경제체제 등 근대적 구조와 체계에 ‘의한’ 폭력의 인식은 그에 ‘대한’ 저항폭력의 이슈를 전면화한다. 하지만 폭력의 이중성, 억압폭력과 저항폭력이 서로를 차용하며 구성하는 아포리아는 해결되지 않는다. 다양한 차원이 비대칭적으로 착종된 지구화의 폭력적 현실에 이들의 이론을 단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그럼에도 이 이론들이 보여준 불가능한 가능성에 대한 사유는 부단히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recognition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modern civilization and violence have been linked to the theories of J. Galtung, W. Benjamin, H. Arendt and S. Zizek, and investigates their relationships and its meaning. Galtung’s concept of ‘structural violence’ made it possible to criticize institutionalized violence during the civilizing process but it did not challenge the normality of civilization including the legitimacy of state󰠏monopolized violence. The concept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lementable) policy󰠏oriented characteristics of peace studies.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violence’ in the theories of Benjamin, Arendt and Zizek confronts the commonly accepted modern idea of violence where civilization and violence construct an antithetic relationship. Their reflections on violence ‘by’ modern structures or systems such as the law, political power,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etc., inevitably lead to issues of counter󰠏violence ‘against’ them. But duality of violence, or aporia constructed by interrelationships between violence and counter󰠏violence is not fully explained; it is impossible simply to apply these theories to the extremely complicated violent reality of this era of globalization. Nevertheless, new speculation on the impossible possibility ‘which these theories try to show’ should contin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