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 개항 후 청조와의 관계는 조청 양국 간의 특수한 관계라는 측면과, 연동하는 국가들 간의 관계 속 한 고리라고 하는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그 점에서 조선에서의 화인의 활동에 대해서도 조청 양국을 넘어선 넓은 시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 전체에서의 화인의 이동이라는 시점에 설 경우, 조선으로의 이동은 개항장이라는 새로운 기반 시설을 전제로 한 개항장 간 이동이라는 일면과, 산동반도로부터 발해 · 황해를 넘어 북방으로 향한 18세기 이래의 농민 이동이라는 일면을 아울러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중국무역에 종사한 개별 화상의 사례를 보면, 그 진출 과정이나 그 전제가 된 제도, 기반 시설은 매우 다양하였다. 아시아 시장에서의 조선의 위상을 고찰할 때, 개항장에서의 조선인과 화상의 관계를 추출하여 검토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아시아 시장 속에서의 화상의 활동을 전체적으로 복원하고, 그것이 조선에서의 활동에 어떠한 특징을 부여했는가를 검토하는 작업이 불가결하다고 말할 수 있다.


Joseon Korea remained the last tributary state of Qing China even after its opening treaty ports. However their bilateral relationship was closely linked with other international relationships. Chinese people in Korea of the time was a part of broadly-based migr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of them in East Asia, too. They had two main characteristics: inter-ports moving on the basis of modern infrastructures in treaty ports and traditional drift of Shandong farmers to Liaodong peninsula and more northern areas which had continued from eighteenth century. As for Chinese merchants who got engaged in Korea-China trade, their process of movement and institutions or infrastructures which they used were diversified. From their individual case studied, we can find that historical meaning of Chinese merchants in Korea cannot be understood only from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n counterparts. We have to restore their wide-ranged activities in intra-Asian market totally, and locate their activities in Korea i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