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학사 교과서는 향후 구체화될 국정교과서의 성격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된다. 이 글은 교학사 교과서에 나타난 ‘대한민국 사관’의 특징을 분석한다. 먼저, ‘대한민국 사관’은 역사란 위대한 기념비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역사 개념에 입각해 있다. 이에 따라 민족적 자부심과 국가적 자부심을 혼합시켜 국사를 신화화 한다. 둘째, ‘대한민국 사관’은 전통적 민족주의를 체제 권력의 정당화를 위한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 즉 파시즘과 유사한 극단적 국가주의로 고양시킨다. 셋째, ‘대한민국 사관’은 서구 중심적인, 궁극적으로 미국 중심적인 근대화 이데올로기에 기반하고 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제국주의를 ‘문명화’와 결부시켜 정당화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사관은 선의 세력인 미국 중심의 ‘자유민주주의’와 악의 세력인 소련 중심의 ‘공산주의’(‘전체주의’)의 끊임없는 투쟁이라는 냉전의 역사신학에 기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냉전 체제야말로 1917년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가장 중요한 국제질서로서 한국 근현대사를 구조화시킨 상수이다. 교학사 교과서에 나타난 이러한 극우적 편향성은 어쩌면 국사 패러다임에 갇힌 우리의 역사교육에 내재된 취약점이 응집되어 나타난 것일 수도 있다. 지금야말로 국사라는 닫힌 패러다임에 갇혀 있는 우리의 역사 교과서 전반을 비판하고 개선하려는 논의를 진지하게 시작할 때가 아닐까 한다.


The Gyohaksha Korean history textbook is a good example for evaluating a newly-announce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alled 'Daehanminguk-Shagwan'(historical viewpoint of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ed in that textbook:1. 'Daehanminguk-Shagwa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history should function as a great monument. Thus, it mythicizes Korean national history, hybridizing ethnic and national pride.


The Gyohaksha Korean history textbook is a good example for evaluating a newly-announce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alled 'Daehanminguk-Shagwan'(historical viewpoint of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ed in that textbook:1. 'Daehanminguk-Shagwa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history should function as a great monument. Thus, it mythicizes Korean national history, hybridizing ethnic and national pride. 2. It changes traditional nationalism into state power-oriented nationalism, i.e., ultra-nationalism akin to fascism. 3. It is based on a modernization-ideology which is an expression of Eurocentrism and ultimately American centrism. In the same context, it justifies imperialism, associating this with the 'civilization'-slogan. 4. It is founded upon the historical theology of the Cold War which regards the historical processes since 1917 as an endless struggle between good and evil, i.e., between 'liberal democracy' represented by the USA and 'communism'('totalitarianism') represented by the Soviet Union. These extreme right inclinations result from the condensation of week points inherent in South-Korean history education being confined within the so-called national history paradigm. This paper suggests that now is the best time for serious discussion about emancipating Korean history textbooks from the national history parad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