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독립운동에 참가한 전력이 있는 몇몇 의사들의 삶을 통해, 식민지근대의 대표적 전문직이었던 의사집단의 모순적인 사회적 정체성의 일단을 해명하고자 한다. 3·1운동을 전후한 무렵 의학생도와 청년의사들의 독립운동 참가열은 매우 높았다. 이들 중 일부는 해외에서 독립운동가의 길을 걸었지만, 대부분은 식민지 조선에서 의사의 길을 걸었다. 민족의 건강상태 개선이라는 직업적 소명의식,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명예, 경제적 성공이라는 세 가지 목표의 동시 추구가 가장 행복한 길처럼 여겨졌다. 조선인 의사들은 일본인 의사들과 구별된 독자적 조직을 결성하여 직업적·민족적 이익을 추구했다. 의사들을 단일 조직으로 강제하려는 식민권력의 기도에 저항하여 오랫동안 독자적 조직을 유지했다. 이를 통해 집합적 이해관계와 민족차별에 대한 문제제기, 민중에 대한 계몽과 구호를 실행했다. 조선인 의사들은 지역의 지식인이자 유지로서 높은 명망을 누렸다. 동시에 조선인 의사들은 빈곤한 동족의 희생 위에 경제적 성공을 추구하는 악덕의사라는 비판도 받고 있었다. 공공의료가 부재한 상황에서 조선인 개업의들은 빈곤한 환자에 대한 치료 거부나, 비싼 약가로 비난을 받았다. 의사들은 이런 비난에 반발했다. 의사가 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잘못이 아닌 한, 잘못은 왜곡하는 언론과 무지한 민중에게 있었다. 의사와 민중은 불화했다. 식민지근대에서 의학상의 진보와 직업적 소명의식의 추구는 민중의 건강 수준 향상과 쉽게 일치하지 않았다. 식민지의 의사들은 근대 신문명의 개척자이자 민족의 엘리트이면서 동시에 식민지 지배체제의 일원이고 부상하는 부르주아지였다. 문명의 이행을 선도한다는 자부심과 경제적 성공의 소망이, 병든 동족에 대한 연민과 무지한 동족에 대한 불신이 그들 안에서 충돌했다. 급진적 정치의 전망을 스스로 거세한 식민지근대의 의사들에게서 직업적 행복을 향한 길은 좁고 위태롭고, 끝내 불가능했다.


Could doctors be happy in the colonial modern situ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se contradictory social identities of the medical docto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lives of several Korean doctors in colonial Korea. In 1910s, Korean young medicos and doctors were very active in independence movements. However, the absolute majority of them chose to be a doctor as a medical profession in Korea except some who participated in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They sought happiness in harmonious coexistence of professional calling, social honor, and economic success. Organizing themselves, they established their own medical associations against Japanese doctors, and maintained those organizations against colonial power for a long time. Based on those organizations, they could pursue economic interests, protests against ethnic discrimination, and medical aid and enlightenment for Korean. They enjoyed quite a reputation as intellectuals and influential men in the local society. At the same time, some of them were criticized for their greedy economic desire, for they often denied to cure poor patients and asked high medical fee. Defying this kind of criticism as mediamorphosis, doctors came up against newspapers and people. Korean doctors and peole were often in trouble each other. In the colonial modern situation, Korean doctors’ seeking medical progress and responsing professional calling were essentially in discord with improvement of general health situation. Doctors who resided in the colonial modern situation were frontiers of modern civilization and national elites as well as members of the oppressive colonial regime and rising modern bourgeoisie. Their pride and economic desire continuously contradicted their sympathy and distrust for people. Without a connection to the radical political prospect, the road to vocational happiness of medical doctors was destined to be narrow, dangerous, and eventually im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