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00주년에 즈음하여 제1차 세계대전 연구는 새로운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역사서술도 비단 역사가들 뿐 아니라 다른 학문분야의 학자, 작가, TV 제작들로부터 훨씬 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의 경험은 3세대로 대별되는 전문적·비전문적 역사가들에 의해 재구성되어왔다. 3개의 세대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특정 주제에 몰입하였으며, 전쟁을 이해함에 있어 특징적인 패턴을 보여주었다.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역사서술은 비교사적이고 초국가적인 접근법 뿐 아니라 문화적, 학제적 접근법까지 수용하는 방향으로 변형해오고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주요한 물음에 답하기 위한 연구를 활성화하고 있다: ① 전쟁의 기원, ② 연합군의 승리 원인과 높은 사상율에 대한 장군들의 책임성, ③ 장병들의 사기 및 기율, ④ 국가의 전쟁노력에 대한 민간사회의 반응.


As the centenary of the World War I approaches, studies of the war are enjoying a renaissance and the history of the historiography of the conflict draws more attention not only from historians but from scholars in other fields, writers, and TV producers. The experience of the First World War has been reconstructed by three generations of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historians. Three different generations have been preoccupied with certain theme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understanding of the conflict in different ways. Especially, the war’s historiography has been transforming to embrace 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as well as comparative and trans-national approaches, which have in turn spurred studies on four major questions, ① the origins of the conflict, ② the reasons for the Allied victory and the related responsibility of generals for the high casualty rates, ③ troops’ morale and discipline as the most critical source of their endurance, and ④ the response of civilian society to the war eff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