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선거에서 연령 집단별 투표율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의 주기효과와 세대효과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구체적으로 생의 주기효과는 20세에서 60세까지 10년을 기준으로 투표율을 평균 5%정도 증가시키며 세대효과는 제 1공화국 시대에 태어난 세대 이후 나타나기 시작하여 제 3공화국과 유신시대에 태어난 세대가 그 바로 위의 세대보다 5-6% 낮은 투표율을 보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제 1공화국 세대 이후의 세대들의 낮은 투표율은 1992년 이후 지난 16년간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하락한 투표율 중 약 1/4를 설명하고 있다. 왜 연령 집단별 투표율 차이가 나타나는가에 대한 원인으로 투표 효능감과 지지정당 여부 등의 태도변수를 경로변수로 지목하여 검증한 결과, 경로효과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나 투표참여에 미치는 연령 집단별 투표율 차이와 정치적 정향과 태도의 관계는 밝혀내지 못 했다.


This study measures life cycle effects and generation effects of electoral participation in the Korean presidential and National Assembly elections since 1992. It finds that about 15-20% of life cycle effects exist between the age cohort of the early twenties and that of the late fifties and that about 5%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urnout exist not only between the pre-Korean war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but also among the postwar generations. The generation effects account for 1/4 of turnout decline since 1992. It is unable to find out causes of turnout differences of various age cohorts however, because very weak relations exist between age on the one hand and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efficacy on the other, two of the most important attitudinal variables which affect electoral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