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930년대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조합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濟州島農會가 이 조합의 운영에 깊이 개입했음을 확인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주도농회가 이 조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는 선행연구 차원에서 제주도농회의 운영 실태와 그 역사적 성격을구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에 보관되어 있는 1941∼1943년 제주도농회 자료와 1943년 조선총독부에 제출한 「국유림대부허가원」 문서를 발굴하여일제하 제주도농회의 창립배경과 운영조직 그리고 사업별 재정운영 실태를 면밀히 검토한 것이다. 이 농회는 1926년에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아 창립되었으며, 회장은 濟州島司가 겸임했다. 일제의 식민지 농축산 정책을 제주도에 실현하는 농업단체였으며, 특히 일제말기 군수품 확보에 필요한 밭작물 재배와 함께축산장려정책을 집중적으로 시행했던 조직이었다. 이에 따라 제주도내에서 제충국, 감저(고구마), 면화 등 상품작물 재배와 양잠, 면양, 우마 생산이 활발하게이루어졌으며 제주도농회 주도로 농축산물 공출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조선총독부의 농축산 장려정책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각종 사업마다 기수와 지도원그리고 독려원 등을 해당 마을에 파견하여 면작, 전작, 양잠, 축산증산을 핵심사업으로 추진했을 뿐만 아니라 기술전수와 계몽을 위해 경작회, 품평회, 전습회, 강습회 등을 실시했다. 태평양전쟁 중이었던 1943년 이 농회는 조선총독부에 「국유림대부허가원」을 제출, 제주도 중산간(해발 200m〜600m) 17개소에 가축방목장을 운영했다. 그러나 제주도에 주둔한 일본군들이 주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중산간 목장지대 내 오름(측화산)을 중심으로 진지동굴을 구축하고, 마을공동목장에 방목했던 소들이 피해를 보는 상황에서 이 농회의 가축방목장 운영은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밖에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대로 조명되지못했던 제주도농회의 운영 실태와 그 역사적 성격을 구명하고 제주도 농축산업변화에 미친 제주도농회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주도농회는 조선총독부의 농축산 정책을 충실히 이행했던 관변단체이면서 공출에 앞장 선 수탈조직이었다는 역사성을 지닌다. 앞으로 면지역에서 활동했던 제주도농회 面分區에 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긴다.


This thesis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nagement of the Jejudo-Nongheo(濟州島農會)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Jejudo-Nongheo was established in April, 1926. It‘s office was located in Jejudo provincial government and its president was Jejudosa (濟州島司). It's main department heads was command by Japanese and they were hold real power of Jejudo-Nongheo at 1943. It was composed of president, vice chairman and ordinary, special assemblyman. The Jejudo Nongheo was faithfully carried out agricultur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supply war supplies, it was put spurs to produce sweet potato, upland cotton, insect flower and sheep, horses and cows. To increase production of agro-livestock, the Jejudo Nongheo was held competitive show, workshop, quality evaluation and utilize cooperation seller´s office, water supply spot, cooperation storehouse,common breeding ground. To obtain high-grade seed, it operated seed-gathering and guide field. To effective administration of agro-livestock production and provide war supplies in a short time, the Jejudo Nongheo was send stimulate personnel and agricultural agent all work and push ahead cotton culture,silkworm raising, stockbreeding as core operations. Ago and livestock products in Jejudo were offered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y delivery policy with the help of the Jejudo Nongheo. As a result of analyze budget and settled accounts of the Jejudo Nongheo(1941), it's settled accounts was reduced in compared with the budget sum. Therefore, this Nongheo was carry out retrenchment under war basis(1937-1945). The Jejudo Nongheo was carry out stockbreeding improvement and encouragement policy to Nongheo members to production increase of stockbreeding and was submit national forest loan permission request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t 1943 and operated pasture in the middle-mountain regions(中山間地帶) but pasture building program cannot effective satisfactorily because Japanese army construct encampment cave with compulsory mobilization of inhabitant. In conclusion, Jejudo Nongheo was a the Pro-Japanese Official Organizations and colonial exploitation association that take the head offering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 Jejudo 1940s. This thesis confirm that essence of the Jejudo Nongheo and review its role to agriculture history and pasturage history of Jeju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terials for various kinds agricultural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union existed in Jejudo will contribute to correct Jeju history as loc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