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은 얄타밀약을 통해 소련의 출병조건을 약속하였고, 중국의 장제스는 「중소우호동맹조약」을 통해 밀약의 내용을 대부분 승인하였다. 그러나 중화민국 정부는 얄타밀약에는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던 항목인 동북지역의 일본 자산--예를 들면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이 세운 중공업 시설 등에 대해 소련이 마음대로 할 것을 우려하여 소련군이 출병하기 전이 이를 확실히 해 두려고 하였다. 그러나 중소담판에서 소련은 명확한 답을 피했고 대신 중국을 부당하게 대우하지 않을 것이라며 안심시켰다. 당시 해리먼의 미국정부는 루즈벨트의 친소정책을 계승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의 동북산업설비에 대한 관심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소 강경론자였던 소련주재 미국대사인 해리먼은 출병한 소련군의 동태를 주시하고 있었다. 동북지역으로 출병한 소련군은 일본에게 항복 받은 후 전리품이라는 명목으로 일본의 중공업자산과 기타 금융자산을 선점하고 독점 반출하였다. 이 상황에 대해서 필자가 주목한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전리품에 대한 해석이다. 중미소 삼국은 모두 전리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해석이 서로 달랐다는 것이다. 교전자가 점령지에서 마음대로 취할 수 있는 전리품과 전승국이 공동논의 공동분배하는 전쟁배상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소련과 중미 양국은 서로 다르게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논의가 이루어지기 전에 소련은 이미 동북지역 일본자산의 80%이상을 반출한 상황이었다. 또 하나 주목한 것은 1946년 초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한 미소양국의 갈등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문제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은 1946년 초 트루먼이 루즈벨트의 친소정책을 포기하면서 미소양국의 사상적 대립이 표출되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냉전의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적어도 동북지역의 적산처리에서 불거진 중미와 소련의 갈등에서 미국의 강경한 태도에는 미국의 문호개방정책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해리먼은 미국이 해외로 경제적 팽창을 하기 위해 줄곧 추구하던 문호개방정책이 저촉받을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고, 트루먼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소련과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소련은 국가 재건을 위한 경제적 이익을 위해 전리품을 독점하려고 하면서 양국의 국가 이익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두게 된 것이다. 그래서 적어도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1945년의 평화의 균열이 일어나게 된 데에는 이데올로기적 요소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나타난 제국주의적 요소가 더 컸다고 볼 수 있다.


US president Roosevelt promised the condition of sending a military expedition under the Yalta Pact and Chinese president Chaing Kai-shek approved most of the provisions of the Pact through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Alliance. Howeve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intended to clarify the Japanese properties in Northeast China that were not specifically discussed in the Yalta Pact – for example, the heavy industry facilities established by Country of Manchuria, which is the puppet state of Japan – before the dispatch of the Soviet Union troops for fear of that the Soviet Union would have power over the facilities. However, during the Sino-Soviet negotiation, the Soviet Union avoided to give a clear answer and rather assured China not to treat the country unfairly. Since the pro-Soviet policies were inherited from the Roosevelt administration at that time, the U.S. government did not take seriously the Soviet Union’s interest into the Northeastern industrial facilities. However, U.S. ambassador William A. Harriman to the Soviet Union, who was a hardliner on the Soviet Union, was keeping his eyes on the movements of the dispatched Soviet troops. The dispatched soviet troops to Northeast China preoccupied the heavy industry properties and other financial assets of Japan and exclusively took them out of China under the name of war trophies after being surrendered by Japan. In this regard, two points are noteworthy: One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 ‘war trophies’. The three states of China, the U.S. and the Soviet Union used the same term ‘war trophies’ but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s. While the Soviet Union interpreted the term ‘war trophies’ as the things that can be taken by the belligerents as they want at the occupied territory, China and the U.S. interpreted the term as the war reparations that are jointly discussed and distributed by the victorious country. However, before the discussion, the Soviet Union already took out over 80% of the Japanese assets from Northeast China. Another point is the issue of how to interpret the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on Northeast China, which started to be raised from early 1946. As Truman gave up the pro-Soviet policies by Roosevelt in early 1946, many researchers have been considering it as the start of the Cold War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began to emerg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open-door policy served as a key factor of the strong stance of the U.S. against the Soviet Union in the conflict between China and the U.S. and the Soviet Union occurred during the disposal of the enemy properties in Northeast China. In other words, the conflicts of national interest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likely to occur as Harriman argued that the open-door policy may be deterred, which has been pursued by the U.S. for economic expansion to overseas; Truman accepted the argument, causing conflicts with the Soviet Union; and the Soviet Union tried to monopolize the war trophies for economic benefits 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break of peace in Northeast China in 1945 was more caused by the imperialistic elements appeared as the nations pursued their own interests rather than the ideologic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