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임화ㆍ최재서ㆍ김기림은 각자의 주제적인 관심에 따라 비평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문학적 주체의 근거를 탐색했던 1930년대의 대표적인 비평가들이다. 이들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자아(moi)가 아니라 비평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서 재/구성되는 주체(subject)를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에서 본격적으로 문제삼은 최초의 비평가들이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부분은 임화 최재서 김기림이 비평적 주제를 공유하고 논의를 펼쳤던 지점들에 대한 검토이다. 기교주의를 둘러싸고 임화와 김기림이 벌였던 논의, 김기림과 최재서에 의해서 논의된 풍자문학의 의미, 최재서의 리얼리즘 논의에 대한 임화의 대응 등이 그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세 사람의 비평에 등장하는 주체의 수사학 또는 구성 원리에 대한 검토이다. 최재서의 경우 전통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통일적인 주체를 꿈꾸었다. 과도기적 혼돈성으로 요약되는 현대의 위기를 통일적인 주체성의 확립을 통해서 버텨나가고자 한다. 반면에 김기림은 시대적인 변화를 움직이며 관찰하는 주관성을 지향한다. 그의 이러한 원칙은 비평을 시작한 1930년대부터 납북되기 이전까지 조금의 변화도 보이지 않는 원칙이었다. 임화의 경우 변증법의 정지상태를 넘어설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작품 또는 텍스트 속에서 집요하게 찾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주체는 변증법의 살아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었다. 2008년은 이들 세 사람의 비평가가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07 is th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three representative literary critics in the 1930s, Choi Jae-Seo, Im Hwa, and Kim Gi-Rim. This article reviews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through examining their criticisms. Kim and Im argued with each other in the technicalism debate, and as a result, Kim reorganized the composition of poetry of totality and Im moved forward the great romanticism. Meantime, Kim and Choi met in the field of satire. While Kim perceived sarcasm as a vehicle in that it made intellectualism go forward criticism of civilization, Choi suggested a split model of the subject from the satirical literature. Finally, Choi and Im met in the sphere of realism. Choi focused on the post-delimitation of realism but Im insisted the victory of realism which Balzac managed. In conclusion, Choi suggested a forming process of the unified subject as a principle of critique, Kim maintained the flexible subjectivity, and Im intended creative criticisms which could produce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