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해방기 이용악의 정치적․문학적 변모가, 당시 대두된 ‘자기비판’ 및 주체 복원의 과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그의 시적 변화를 정치적 변화와의 연관선상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조선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해방기 이용악의 정치적 변화는 시적 변화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해방직후 조선문학가동맹이 문인의 최우선 과제로 제기한 ‘자기비판’의 과제는 이 변화를 이끌어가는 중심축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용악의 정치적·문학적 변화의 핵심은 자신의 외부와 내부로부터 직면한 ‘자기비판’의 과제에 대응하면서 친일의 과거와 소시민성을 극복할 수 있는 진정성을 확보하고 주체를 다시 복원하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해방직후, 민족주의적 중간파의 입장을 가졌던 이용악이 문맹의 대중화 운동에 뛰어들면서 정치적으로 변화되는 과정과, 그 변화에 대응하는 시적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용악의 자기비판을 담고 있는 시 「오월에의 노래」를 시작으로, 1년 후 문맹 대중화 운동의 중심에 서게 됐을 때 발표한 시 「다시 오월에의 노래」까지 이용악의 시는 급격하게 정치성을 강화하면서 변화하게 되는데, 이 시기 이용악 시의 특성과 구조를 분석했다. 특히 그가 시에 정치성을 강화하면서도 당시 문맹의 시인들이 쉽게 도달하지 못했던 시의 수준을 넘어서는 미적 구조를 획득한 이유를 ‘체험’으로부터 나오는 현장성과 윤리성을 중심으로 규명하였다. 이용악의 해방기 시가 구축하고 있는 미적 구조는 시인이 자기비판의 진정성에 도달하고 내적 주체를 복원하기 위해 윤리적 성찰을 지속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ward the purpose that analyse transitional process of poetry of Lee Yong-Ak in the connection of his political transform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his political and poetic transfigurations attached the tasks of Self-criticism and Restoration of Subject that was raised in the Period. His political transformations were afoot with Korean Writers Alliance as the center, and this changes accompanied his poetic changes. The task of Self-criticism which raised as a top priority to literary people, by Korean Writers Alliance directly after liberation was pivotal lead his changes. Therefore, the core of political and poetic changes of Lee Yong-Ak is the point it was a process which he was in response to the task of ‘self-criticism’ faced from his both external and internal and tried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self-criticism, to overcome the past’s Pro-Japanese activities in order to restore the self-as-subject.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transitional process which Lee Yong-Ak who had taken a position of the nationalists and the neutrals by the end of 1945 had be changed political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changes which accompanied by his political changes. In particular, from the time which he published the poem 「the song of May」 which contains his self-criticism, one year later until the time which he published the poem 「Again the song of May」, became the center of the Cultural Popularization Movement promoted by Korean Writers Alliance, his poems was turned into poems having strong political nature. Though he introduced political nature strongly poems to his poems, he got the aesthetic structure which contemporary poets did not achieves. This study is finding the reason he got the aesthetic structure is a sense of spot and ethicality which came from the truth of a “experience” of October People`s Strife. The aesthetic structure which Lee Yong-Ak’ poetry have in the Liberation Period is the product which he tried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self-criticism and kept a reflection on ethical of inner self in order to restore the self-as-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