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Michel Foucault가 정초한 권력의 개념이 조직학의 후속연구에서 어떻게 계승・발전되는지를 살펴보는 메타 분석을 통해 푸코 철학의 함의와 기여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 글에 따를 때, Foucault는 규율권력과 생명권력이라는 두 가지 권력개념을 정초했다. 근대적 형태의 조직이 감시와 처벌을 통한 억압적 통제기제를 발전시켜 왔다는 Foucault의 규율권력 개념은 현대 조직의 기초를 이루는 다양한 관리기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생명권력 개념은 이 다양한 관리기술이 어떻게 보다 인간적인 얼굴로 개인의 자발적 참여와 자기 통제를 유도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에 주목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Foucault의 권력개념을 계승하는 조직 연구는 첫째, 조직의 규율화를 위한 권력의 개입방식에 대한 연구 둘째, 자발적인 참여와 복종을 유도하는 통치의 기술과 원리에 대한 연구 셋째, 자발적 관리를 통해 조직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진 개인의 통치 방식(주체화)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층위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 세 가지 층위 가운데 세 번째 연구영역 즉, Foucault가 후기에 이르러 모색한 주체화의 양식이 조직 연구에서 얼마나 반영 또는 창조적으로 계승되었는지가 불분명하다고 언급하며 향후의 연구 아젠다로 주체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그리고 그 일례로 Bourdieu의 아비투스(Habitus) 개념의 기여와 한계를 소개한다.


This writing is to study mechanism of power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power found in Michel Foucault's work. Particularly, it seeks to explore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defined by Foucault in subsequent studies of organization and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of his philosophy as well. According to this study, Foucault’s concept addressing the development of repressive control through surveillance and punishment in modern organization gave a rise to critical review of various management technologies; the concept of bio-power had led these technologies to focus on the individual’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elf-regulation. Later organization studies include the study on the intervention of power for organization discipline, the study on the technique and principle of governing for voluntary participation and obedience, and the study on the individual governing through voluntary self-management(subjectification). However, I suggest the study on the subjectification for future research agenda since it is uncertain how the subjectification sought by Foucault is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 studies or even creatively reproduced. I introduce Pier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in order to support the research sugg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