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이 2013년 실시한 소비생활지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식품위해에 대해 느끼는 불안의 체감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역량 만족도와 안전식품 구매 행동이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경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비자가 큰 불안을 느끼는 식품영역은 수입 신선식품이며, 수입 신선식품 불안은 우리나라 소비자의 식생활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소비자역량 만족도는 제조가공식품과 수입 신선식품 불안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제조가공식품 및 수입 신선식품과 관련된 위해에 대한 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식품 안전 관련 정보와 지식을 다루고 활용하는 실질적인 소비자역량의 체감 수준을 끌어 올리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생산자-소비자 직거래와 생활협동조합을 통한 구매가 국내 신선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안전식품 구매 전략이 식품위해에 대해 소비자가 체감하는 불안 수준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재래시장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제조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불안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을 이용하지 않는 원인으로서 식품 위해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불안을 경감하는 정책방안과 소비자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data from 2013 Consumption Life Indicators in Korea collected by Korea Consumer Age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sumer capacity and safe food purchasing behavior on the level of anxieties on food hazard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consumer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anxiety with imported fresh food and this decreased consumers' satisfaction of the dietary life. Second, consumer capacity was shown to mitigate the anxieties regarding manufactured/processed food and imported fresh food. This resul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consumer capacity which enables consumers to utiliz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ird, the direct trading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in grocery shopping and the participation in consumer cooperatives mitigated consumer anxiety regarding domestic fresh food. This result suggests the importance of safe food purchasing behavior as a measure for alleviating anxieties regarding food hazards. Fourth, anxieties regarding manufactured/processed food increased with the frequent usage of the traditional market. This result suggests that concerns on the food safety possibly make consumers to avoid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consumer policies to relieve consumer anxieties regarding food haz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