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식품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소비자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13 한국의 소비생활지표」의 전국 성인 남녀 1,500명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 불안이 친환경상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과 이때의 성별과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소비자 불안과 친환경상품 구매의 영향력이 식품 소비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도 함께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 수준은 6.5∼8.31점(10점 만점)으로 높은 수준이고, 수입 농수축산물에 대한 불안 수준이 가장 높았다. 중장년층과 여성, 고학력자, 미성년 자녀 양육 가구의 불안 수준이 특히 높고, 가계소득에 따른 불안 수준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은 친환경상품 구매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득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고소득층의 불안감이 높으면 친환경상품 구매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은 식품 소비생활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친환경상품 구매는 식품 소비생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식품 위해에 불안한 소비자는 친환경상품을 구매하나, 친환경상품을 구매한다고 해서 식품 소비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불안이라는 감정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설명함으로써 그동안 연구가 미진하였던 소비자 감정-행동 차원의 실증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식품 위해에 대하여 누가, 얼마나, 무슨 식품에 특히 불안한지, 그리고 불안한 소비자의 친환경상품 구매 행동과 이 후의 만족도가 어떠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식품 사업자와 관련 정부기관, 소비자 교육기관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After a series of food safety incidents, consumer anxiety level has increased. This study determines the level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tests both (a) the effect of consumer anxiety on the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b)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income. The study also examines how consumer anxiety and the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ffect food consumption satisfaction. The study used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conducted in 「2013 Korea Consumption Index」 with a sample of 1,500 adults living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findings show that the level of consumer anxiety is high, 6.5–8.31 on a scale of 10, the highest being for imported agricultural, fishery, and livestock products. The high-age group, female group, well-educated group, and group with families rearing young children have higher anxiety levels about food hazard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level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We find that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positively affects the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is significant, which is illustrated by the high-income group with high anxiety level buying mor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n contras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s not significant. Consumer anxiety negatively influences food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on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 As consumers who feel anxiety about food hazards buy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the satisfaction level does not increase due to the purchase of such products. Our findings provide insigh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motions and behavior by illustrating the buying behavior concerning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related consumer anxiety. The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food businesses, government agencies, and consumer education agencies on the following: (a)who is more anxious about food hazards, (b) which type of food is recognized as more unhealthy, (c) do consumers buy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d) what are their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their food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