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개인적 특성, 경제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영향과 이들이 소비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소비자역량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만25세~60세의 서울거주 여성 북한이탈주민 278명으로 구성되었다. 소비생활적응은 시장거래에서 좌절이나 두려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심리적응’과 시장환경에 대한 이해와 시장거래에 대한 효능감을 나타내는 ‘시장적응’, 주어진 재무자원을 가지고 소비수준을 달성하는 정도로서 소비충족성, 소비안정성을 나타내는 ‘금융적응’, 그리고 남한의 소비문화와 제도에 대한 수용정도를 나타내는 ‘문화적응’의 네 영역으로 개념화 하였다. 소비생활적응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 평균값이 2.77점으로 다소 긍정적인 편으로 나타났고, 시장적응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금융적응, 심리적응, 문화적응의 순이었다. 금융적응에 있어서는 소비충족성에 비해 소비안정성은 더 낮았고 심리적응과 문화적응은 더욱 낮은 편이었는데, 절반 이상의 여성 북한이탈주민이 시장거래에서 자신감이 없고 두려움을 가지며 남한의 소비문화와 제도에 대해 익숙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소비생활적응의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소비자역량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일 뿐 아니라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개인적 특성, 경제적 특성 요인들과 소비생활적응을 연결하는 매개변수로서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역량을 포함한 경로모형은 소비생활적응 영역별로 변량의 10~50% 이상을 예측해주었다. 거래역량, 금융역량뿐 아니라 시민역량2, 즉 주체적 소비역량이 모든 영역의 소비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인적자본은 소비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또한 소비자역량을 통한 간접효과로 의미있는 요인이었다. 특히 억양차이, 직업훈련 등 남한에서 형성된 인적자본의 효과가 컸다. 사회적 자본의 효과는 미미하거나 복합적이었으며, 경제적 특성은 소비자역량을 통한 간접효과만 나타내었다. 나이, 건강상태, 배우자 등 개인적 특성은 소비생활적응 영역에 따라 다소 다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역량이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에 핵심적인 변인이며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개입 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확대하고, 취약함과 연결되는 개인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and determinants of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consumption life adaptation in South Korea. The study conceptualized the consumption life adaptation by four domains: psychological adaptation, market adaptation, financial adapt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referred to the consumer’s emotional self-confidence within the market environment, while the market adaptation denoted the consumer’s self-efficacy during the transaction. In addition, the financial adaptation referred to the consumption adequacy and stability. The cultural adaptation represented the adaptation to the consumer culture, law, and social system. The overall level of consumption life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as slightly positive. The market adaptation level was the highest of the four domains, followed by that of the financial adap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lastly, cultural adapt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the personal attributes,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onditions, showed to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female defectors’ consumption life adaptation. The consumer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mediating factor, which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ption life adaptation. Such finding indicated that the consumer competency should especially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consumption life adaptation. The human capital, such as job-training experience and language profici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ption life adaptation. The social capital did not have as significant of an effect as expected, and the economic conditions, including the employment status and household income, had only indirect effects via consumer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