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편 144편은 시편 8, 33편, 특히 18편과 같은 이전의 시편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런데 시편 144편이 혼합된 양식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양식비평 주석가들을 당황케 했다. 양식비평은 본 시편의 저작 배경을 설명하는데 실패했다. 그러나 최근에 시편에 대한 구성적 접근은 시편 144편의 문맥에서 이전 시편들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이해하면 저작의 배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시편 제4-5권에 대한 구성적 접근은 주로 윌슨의 제왕시에 대한 견해와 이에 따른 시편의 편집 의도로 제안된 ‘야훼께 신뢰’라는 견해에 크게 의존해오고 있다. 윌슨은 시편 89편에서 다윗 언약이 실패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제4-5권에 나오는 다윗 언약의 발전이나 이의 종말론적 함의를 인식하는데 실패했다. 한국에서 김희석도 바로 윌슨의 이 견해에 의존해서 시편 144편을 최근에 분석한 바가 있다. 필자는 박사학위논문에서 윌슨의 다윗 언약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 대해 도전하고 제4-5권에 나오는 제왕시들(110, 132, 144편)이 전략적으로 배치된 사실을 밝혔다. 이를 통해 필자는 제4-5권에 나오는 제왕시들의 종말론적 해석을 향한 문을 열게 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시편 144편이 대표적인 종말론 텍스트인 스가랴 14장과 다양한 문예적 유사성을 보이는 점에 착안하여, 스가랴 14장이 시편 144편의 저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시편 144편이 시편 18편을 사용하는 방식을 보면 스가랴 14장이 영향을 미친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스가랴 14장이 전쟁 이미지와 종말론적 복의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 이 점이 시편 144편의 기자가 시편 18편의 전쟁의 이미지를 변형해 사용한 점과 이어서 스가랴 14장의 모델을 따라 종말론적 복이란 상이한 주제를 함께 다루게 된 배경이라고 본다. 시편 144편은 시편의 마지막에 나오는 제왕시로서 전략적으로 현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데(시편 135-145편 그룹의 거의 마지막에 배치되어 있고 이어서 송영시가 따라오는 구조), 이는 스가랴 14장의 모델을 따라 야훼의 지도하에 메시아의 종말론적인 전쟁과 승리, 그리고 그 이후의 축복이라는 종말론적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본다.


Psalm 144 heavily relies on the earlier psalms such as Pss 8, 33, and especially 18. Because of its mixed form, Ps 144 has puzzled many form-critical commentators. Form-critical approaches have failed to explain its compositional background. But recent development of the compositional approach to the Psalter will shed light on its compositional background if one correctly understands the way Ps 144 is using earlier psalms in its literary context. Up to the present time, however, the compositional approach to Books IV-V has predominantly relied on Wilson’s view of the Davidic covenant and his view of the editorial agenda of the Psalter as trusting in Yahweh in Book IV. Because Wilson views that the Davidic covenant has failed in Ps 89, he is not able to recognize the thematic development of the Davidic covenant and its eschatological implications in Books IV-V. In my doctoral dissertation, I have challenged Wilson’s negative evaluation of the Davidic covenant in Books IV-V and found the strategic arrangement of the royal psalms (Pss 110, 132, 144) in these books, by which I have opened the way to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oyal psalms in Books IV-V.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literary similarities between Ps 144 and Zech 14 which is one of the prime eschatological texts. In this paper I have demonstrated that the eschatological idea of Zech 14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esent form of Ps 144 in the way by which Ps 144 reuses Ps 18. Zech 14 contains the imagery of both warfare and eschatological blessings, which may have influenced upon the way by which Ps 144 is composed. Ps 144 is the last royal psalm in the Psalter and was strategically arranged in its present position (near the end of the subgroup of Pss 135-145 followed by a doxology) in order to impart an eschatological message - the Messiah's eschatological warfare, victory, and blessings under the leadership of Yahwe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