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정책의 궁극적 목표를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으로 제시하고 현재 분야별 과제를 추진 중이다. 이 연구는 이 중 문화예술교육에 해당하는 ‘체계적인 영재육성 시스템 구축’의 하나인 미술영재육성에 관한 것이다. 현재 미술영재의 발굴·육성은 일선 교육 현장의 미술영재에 대한 인식 부재로 비합리적인 측면이 있다. 따라서 미술영재의 개념의 정립과 행동특성을 토대로 선발 과정상의 절차와 전문성, 교육과정의 배치에 대한 현황을 살피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연구 범위는 초등학교의 미술영재를 중심으로 하되, 영재 선발의 경우 서울시교육청 주도의 현황을 살피고 육성의 경우 미술영재의 영재성 발현 시기와 특성에 따라 분석할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미술영재교육의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In 2010,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t the ultimate goal for cultural policy as the real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country that has quality culture,’ in line with which each field of the arts has seen a range of initiatives implemented.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education in culture and art, specifically addressing the question of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d syste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if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gifted in art. This study has been motivated by the perceived clear issues faced in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hose who are gifted at art. In examining this iss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dures, available expertise and provision of educational courses used in the selection process for those who are gifted at art, in addition to providing discussion on the concept for the gifted in art itself. In terms of methodology, the study adopts a sample group method, taken from the gifted in art within elementary schools, while there is also an evaluation offered of the leadership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the gifted in art. Furthermore, analysis is also given of the pathways and development tendencies of those selected as gifted at art post-selec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provide evidence of the legitimacy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t ar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