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문화매개(자)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인식이 정립되지 않은 국내 문화예술 분야에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의 논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랑스 문화정책 노선을 대표하는 용어로 자리 잡은 문화매개(Médiation culturelle)와 문화매개자(Médiateur culturel)의 개념을 논의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원칙에서 형성된 문화매개 개념을 정책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프랑스 문화부는 모든 사람이 문화예술을 접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접근성 강화에 중점을 둔 문화 민주화 정책을 펼쳤지만, 오히려 사회적 불평등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그 이상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작품과 관객이 만나는 방식에 중점을 둔 문화매개가 정책에 적극 반영되었다. 문화매개자는 관객들이 문화예술과의 만남을 통해 고유한 의미를 만들어가고, 스스로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을 만들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매개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문화매개인력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혔다. 그리고 문화매개자 양성 교육에 앞서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문화매개(자) 개념 확립과 통일된 용어의 사용에 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This paper focuses on finding notions of “Médiation culturelle” and “Médiateur culturel” which are placed as the representative terms in the culture field in Fr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terms, a fundamental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is also closely examined. This study aims to addres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arts and cultural expert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wo specific cases: One is the example of the evolution of the notion about “Médiateur culturel” within the framework of French cultural policy since 1959,establishment of Ministry of Culture and the other is the notion and function of “Médiateur culturel” on the basis of making a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ublic. At the same time, such cases can be used to suggest a cultural policy in the context of Korea and to be applied to a political direction for creating “Médiateur culturelr” positions in cultural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