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지자본주의론자들은 마르크스 가치론의 현대적 유효성을 부정하면서도 가치범주를 고수한다. 특히 이들이 가치론을 이해하고 다루는 방식은 인지자본주의론과가치론의 관계를 더욱 모호하게 한다. 이들의 의도가 마르크스 가치론을 고수하면서 이를 수정하려는 것인지,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이 아닌 다른 가치론을 목표로하는 것인지, 혹은 정치경제학 밖의, 철학적·윤리학적·언어학적 가치론을 추구하는것인지 불분명하다. 게다가 인지자본주의론에서 가치론이 반드시 필요한 이론적 이유가 무엇인지도 불명확하게 남아 있다. 본 논문은 인지자본주의론에서의 가치론의위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인지자본주의론의 대표적 이론가들의 최근 논의를 검토하도록 한다.


Cognitive capitalism theorists deny the validity of Marx’s value theory in the post-industrial capitalism, but at the same time they adhere to the category of value. This approach renders their position on the value theory vague. The way they deal with the theory makes it ambiguous whether their fundamental aim is to keep Marx’s value theory by substantially revising it or to pursue another value theory even from the tradition of philosophy, ethics or linguistics. What is more, it is also conceptually unclear why the theory of cognitive capitalism needs the value concept at all. Based on these questions, we will attempt to clarify the status of the concept within the theory of cognitive capitalism by investigating the way its theorists conceive and deal with Marx’s value theory in particular and value theory in general. For this purpose, we examine recent works by some of leading figures of the theory of cognitive capit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