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의 계급구조 변화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주요한 발견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중간계급의 축소와 노동자계급화는 여전히 지속되는데, 농업 부문의 축소가 가장 큰 원인이었던 산업화 시기와는 달리 구중간계급이 지배적이었던 서비스산업 부문에 대한 대자본의 진출이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구중간계급은 규모 면에서 축소되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 지위 면에서도하락하고 있다. 셋째, 노동자계급 또는 피고용자계급 내부에서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신자유주의적 빈곤화는 노동자계급 중 가장 하층에 집중되고 있다. 넷째, 신자유주의 시대에는 전반적으로 계급 내 소득 격차도 심해지고 특히 주기적인 위기의 시기에 극심해진다. 그러나 자산소득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은 보이지 않는다. 다섯째, 부르주아계급은 시장자유주의를 가장 적극적으로 찬동하면서 계급적이익을 확실하게 의식하는 반면, 다른 계급들은 뚜렷한 차별을 보이지 않은 채 전반적으로 시장자유주의를 받아들이고 있다.


This essay analyses the class structure of neoliberal South Korea. First, the decline of the old middle class and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he working class continues. However, unlike during industrialization, this tendency is due to capitals moving into the tertiary sector, as well as the reduction in size of the agricultural sector. Second, the old-middle class is declining not only in size but in economic status. Third, there is a tendency towards polarization within the working class. The lowest segment of the working class experiences far more poverty than upper segments. Fourth, income gaps within classes are generally bigger in then neoliberal age than in the previous period. Fifth, while the bourgeoisie actively supports market liberalism to realize its class interest, other classes accept market liberalism regardless of their status within the class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