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형법 제14조는 “정상의 주의를 태만함으로 인하여 죄의 성립요소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행위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처벌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동 조항의 “정상의 주의”라는 문언에 착목하여, 학설은 과실의 개념을 부주의, 즉 주의의무의 위반으로 해석하고, 다시 그 주의의무의 내용은 결과예견의무 및결과회피의무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해석은 범죄를 구성하는 요소로서의 과실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만 천착하고 있을 뿐이기에, 그로써 행위자를 비난할수 있을 만큼의 과실이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아무런 시사를 제공해 주지 않는다. 즉,오늘날 범죄의 요소로서의 과실은 구성요건(Tatbestand)과 책임(Schuld)의 두 단계에병렬적으로 위치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이해이지만, 그 간의 논의는 전자에만 국한되어왔으며 후자는 그다지 논의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고는 이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논증에 의하면, 결과를 예견할 의무라는 것은 법학의 관념으로서는 넌센스이며, 결과를 회피할 의무는 구성요건의 요소로서 위치지워져야 한다. 따라서 책임의 요소가 되는 과실은 결과의 예견가능성이라고 본고는 주장하는 바이다.


The Korean Criminal Code Article 14 provides that “Conduct in ignorance, due to neglect of normal attention, of facts which constitute the elements of a crime, shall be punishable only where the law specifically so prescribes.” Taking notice of the legal phrase “normal attention”, theories generally interpret the concept of negligence as carelessness, i.e. breach of the duty of care, and subdivide the contents of that duty into a duty to foresee result and a duty to escape result. However, this interpretation only inquires into the question of what is the negligence as the constituent element of crime, thus it does not give any suggestion to the question whether the conductor had negligence enough to be blamed; namely, the common understanding nowadays is that negligence is situated in parallel under the stage of Tatbestand and Schuld though, but the discussions have mostly been limited to the former and the focus has rarely been placed to the latter, which gave a motive of argument to this article. According to the demonstration of this research, the duty to foresee result is a nonsense as a jurisprudential concept, and the duty to escape result should be positioned as an element of Tatbestand. It is therefore the opinion of this article that the negligence to be an element of Schuld is the foreseeability of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