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참여정부 재정분권 정책수단의 선택과정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게임 상황으로 설정해 분석하였다. 참여정부의 재정분권 정책은 정책 목표의 모호성으로 인해 수평적 형평화 수단과 수직적 형평화 수단이 서로 상충되어 제시되어졌는데 취임이후 지속적으로 수평적 형평화 수단이 선택되어졌다. 이 글은 상충된 수단 중 특정 수단이 지속적으로 선택되게 된 이유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정책 목표가 모호한 상황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수단 선택은 재정적 이익 보다는 정치적 이익이 우선시 되어 이루어졌으며, 특히 정책 수혜집단인 지방정부가 정책수단의 선택을 놓고 갈등하게 될 때 정책집행 집단인 중앙정부는 자신의 손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선택하게 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the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by setting the policy instrument selection process as game situation between state and local govern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of the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had an ambiguity of the policy goals and this caused the conflict on equalizing instrument in terms of vertical and horizontal equity.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continued to select the vertical equalizing instrument after her inauguration. This study has a purpose of addressing the reason of continuous selecting certain policy instrument among conflicted instru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ablishment of fiscal benefits is prior to rather the political interest in the process of instrument selection between state and local government under the context of equivocal policy goals. Moreover, this study states that state government as policy implementing group makes a selection on strategy minimizing his damages or losses when the local governments, as group of benefiting from policy implementation, come to conflict on the policy instrument s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