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트리플 힐릭스 모형(Triple Helix Model)을 활용하여 읍・면・동단위에서 주민자치의 이해관계자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하여 주민자치의 주요 행위자를 주민자치위원회, 공무원 그리고 지역사회단체라는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갈등과 상호의존성이라는트리플 힐릭스 관계가 내포한 개념적 틀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실증 사례분석 지역은 경기도 기초지방자치단체의 2개 지역을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에서 주민자치위원회와 이해관계자 그룹 간 다양한 갈등과 상호의존성의 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동일한 자치단체 내에서도 서로 다른 지역 간 상호작용의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트리플 힐릭스 모형에서 제시한 복합조직과 유사한 형태의 모습이 연구 지역에서 포착되었다. 한편 연구 지역에서는 기존의 트리플 힐릭스 모형이 제시한기관 간 상호작용을 하게 만드는 힘과는 다르게 주민자치위원의 봉사의식이나 적극성이상호작용을 강하게 만드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analysed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stakeholder in citizen autonomy by using The Triple Helix Model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pilot research, it identified three helices such as local community committee, local officials and local social organizations. The notions of conflicts and interdependences were used as an analytic concept to capture tensions involved in Triple Helix relations. Two local areas within a lower-level local government of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Analysing of the empirical study reveals significant findings: first, some factors bringing about conflicts and interdependences were found in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stakeholder;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Dong and Myeon within a local autonomy; third, in the case area, hybrid organisations The Triple Helix Model introduced were found; four, the driving and binding forces that make the three helices continuously interact is devoted effort of Citizen Committeman to their soc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