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590년~1900년 동안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거주하였던 여덟 양반가의 田畓賣買明文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장기 시계열 자료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 자료를 사용하여 조선후기 두 지역에서 신분별 토지소유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 양반층의 토지소유변화가 지가변동을 초래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지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조선후기 양반층의 토지소유규모는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양반층의 토지증가는 지가상승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조선후기 신분별 토지소유규모가 시기에 따라 변화하며, 양반층은 토지의 소유집중이 상민과 노비층은 토지의 하향분해가 일어났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ownership and its prices during 1590〜1900 Choseon Korea. In order to do so, the old trading documents for lands in the Kyungsang (southeastern of Korea) and Cheonla (southwestern) areas were gathered to build the long run series of land prices, land ownership, and numbers of trans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d increased by 47% for the Elites (the Yangban), compared to the previously owned lands during 1590~1900. Land acquired by the Elites was sold out by the Sangmin (the commerers) and the Nobi (the slaves). This land accumulation by the Yangban turned out to increase the land prices for a sampl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