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야담은 당대의 사회상을 폭넓게 수용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서사를 확장시켜 나간다. 그래서 야담은 시대정신을 담아내기에 알맞은 양식이며 야담의 이러한 서사적 특징을 바탕으로 동일한 소재가 여러 가지 이야기로 변주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孝宗微行’이라는 하나의 話素를 가진 여러 野談群에 주목하였다. 이 이야기는 일차적으로 孝宗이 微行 중에 들은 시정의 이야기라는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孝宗과 시정 인물과의 직접 대화한 이야기라는 의미까지 포함한다. ‘孝宗微行’은 孝宗이 微行을 하는 도중에 북벌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정 인물들의 대화를 우연히 듣게 된다는 내용을 담은 이야기로 『東稗洛誦』,『溪西野談』, 『記聞叢話』, 『汨蕫錄』, <聽雪軒記事> 등에 실려 있다. 한편 「霅橋漫錄」과 『靑城雜記』에는 孝宗이 시정 인물들과 직접적으로 북벌에 관해 대화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이 역시 북벌을 추진하려한 孝宗이 시정 인물들에게서 북벌에 대한 견해를 듣게 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霅橋漫錄」과 『靑城雜記』는 『溪西野談』이나 『汨蕫錄』, <聽雪軒記事>에서 보이는 엿듣기라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있다. 이 두 작품에서는 효종이 직접 등장인물과 대화를 나누며, 이들은 각기 정국에 대한 비판과 直諫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한다. ‘孝宗微行’은 ‘북벌을 추구한 孝宗’이란 임금에 대한 시정의 평가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孝宗微行’의 이야기가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해석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동일한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가 작자의 처지, 시대상황 등과 맞물려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孝宗대를 거쳐 정치 전반에 커다란 이슈가 된 북벌론을 바라보는 시선이 어떠한 지를 파악해 보았다. 본고는 더 나아가 작자의 개별적 상황에 따라 어떠한 서술 전략을 쓰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런 연구 과정을 통해 야담의 서사적 특징이 구명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targets works related to historical tales which focus on pure literary works about Bukbeollon (Assertion of conquest of the northern region). Historical tales associated with various sectors such as politics, diplomacy, national defense and society. Bukbeollon is crucial to epic 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This contention was raised in order to recover the humiliation Joseon felt from Qing's Jeongmyo and Byeongja invasions and to restore national pride. Thereafter, Bukbeollon continued to be discussed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Joseon, greatly impacting These chronological changes were expressed by literature as they were. Anti-Bukbeollon works such as historical tales on conquest of the northern region, Cheongseolheon gisa articles. This study examined a difference - in terms of critical degree - between historical tales where characters directly related to the conquest of northern region such as Song Si-yeol and Jeong Tae-hwa appear, and those where persons such as Sujol and Maebyeongga - whose existence cannot be confirmed - appear. ‘Hyojong shadow tale’ is story that King Hyojong listen of comunication of marketplace' people. This historical tales is contained in Gimunchongwha, Dongpealaksong, Keasouyadam and Goldonglock which Youngman writer Joboyang create. And Sabkeumanlock, Cheansungjobgi contain the story of comunication between King Hyojong and the man on the street. In this story King Hyojong listen the comment of the man on the street. This study focus on comparison of this various works. Eavesdrop and direct comunication of the man on the street are special narrative structure. By this study narrative peculiarity of historical tales is ex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