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여성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을 매개로 진행되는 여성 탈북민의 사회적의미작용의 회로를 생산으로부터 수용에 이르는 과정으로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이 시도는 최근 증폭되고 있는 여성 탈북민의 방송 현상이 이들에 대한 남한사회의 관계가 감정적이고 성적인 방식으로 전환, 확장, 심화되는 문화적 변화에조응한다는 입장에 바탕을 둔다. 그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종합편성 방송 채널을통해 부상하고 있는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생산자(제작진, 출연진)와 수용자(남한 시청자, 탈북민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했다. 인터뷰 자료 분석을 통해 생산 영역에서 제작자와 탈북민 출연자사이에 선의와 신뢰에 근거한 도덕경제가 형성되어 작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도덕경제는 가부장적이고 자본주의적인 논리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연동, 강화됨으로써 여성 탈북민에 대한 대중적 감정과 남성적인 욕망을 촉발한다. 수106 용 영역에서 남북한 출신의 수용자들은 각기 다른 사회 정체성에 따라 교섭적이거나 저항적인 해독을 행하고 있음이 제시된다. 이 결과는 이념화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수용자들이 타협하거나 비판하는 등의 비지배적인 의미작용을 통해, 대안적인 의견과 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process of social circuit of signification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over television programs on female North Korea defectors. 22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sed of producers(South Korean broadcasting professionals), performers(female North Korea defectors) and audiences(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defectors). Focusing on the moral economy formed between the producers and performers, it is suggested that the moral economy embedded in power and gender relations across South and North Koreas tends to be developed in capitalist and patriarchal oriented broadcasting system, making an emotional effect of producing and spreading sexual desire for the female North Korea defectors. On the part of consumption, it is found that the most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audiences make negotiated and oppositional modes of decoding of such ideological and sexually fantasised programs. This research supports the thesis of emotional and sexual turns in migration studies. Simultaneously, certain possibilities are envisaged of critical and resistant interpretations from the citizens against the ideologically biased broadcast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