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메트로’로 대표되는 무료일간지가 새로운 광고매체로 부상하면서 유료신문의 경쟁적 대안재가 될 수 있는가? 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번 연구는 무료일간지에 게재된 3,300개 광고물을 내용분석 하여 무료일간지가 광고매체로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코자 했다. 구체적으로 무료일간지에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와 제품 특성, 광고물의 형식과 내용 상의 특징을 분석했다(연구문제 1). 두 번째 연구문제는 무료일간지 내에서도 신문사별로 고유한 특성(차별성)이 존재하는가? 와 신문사별로 광고의 중복 게재 정도를 분석코자 했다. 이를 통해 무료일간지 내에서 신문사별로 독자적인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가와 향후 생존 가능한 무료신문사의 수는 얼마나 될 지를 가늠코자 했다.


As free newspapers have emerged as new advertising media, existing paper companies have been worrying about the phenomenon. Both advertising field and academic circles started to take interest in free papers' possibility as competitive alternative to paid newspaper. In the context, the researcher took content analysis about 3,300 advertisements of four papers ; Metro, Daily Focus, AM7, Good Morning Seoul. To put it concretely, the researcher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r, product item, external form and internal values of advertisements. With this process, the research wanted to examine two topics :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ree newspapers as ad media. And second, among many free papers, whether individual paper has unique specialty and difference from other papers or not. In addition, If possible, I'd like to forecast which paper is survival in the ad market and that the total size of market for free papers, even though it's super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