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호남의 전통화가들이 일제를 통해 유입된 일본화풍이나 서양화 등 새로운 회화경향을 대하면서 어떤 갈등을 하였는지, 각자의 내적갈등을 거쳐 선택한 화풍의 변화가 이들의 행보나 화단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것이다. 일제강점기 전통회화에 대한 화가들의 생각은 그들의 행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였다. 전통회화정신을 강조하였던 허백련은 일본화풍을 구사해야만 하는 조선미술전람회에 몇 차례 출품하다 중단하고 자신의 화풍을 지켰다. 허백련의 전통회화 고수는 일견 보수적이고 퇴행적인 것일 수도 있으나, 조선의 전통화를 고수함으로써 일본에 저항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통산수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표하며 시대감각에 맞는 그림을 그리고자 했던 허림은 선전 뿐 아니라 일본의 문전에도 입상하며 수묵채색화의 전통을 혁신해 나갔다. 이와 함께 정운면, 허건처럼 전통회화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일본화풍을 적절히 수용하여 관전에 두루 입선함으로써 이를 입신의 발판으로 삼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렇게 관전출품을 위해 화풍을 바꿔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내적 갈등을 겪기도 하였고, 서로 간에 마찰을 빚기도 하였다. 화풍의 선택은 화가로서 자신을 변화 발전시킨다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스스로의 선택이 아니라 관전입상을 위한 일시적인 자기변신인 경우도 있었다는 점이다. 새로운 화풍을 수용하는 면에서 호남화가들은 상대적으로 더 보수적이었다. 이는 전통회화의 계승과 보수라는 명암을 동시에 안고 있기는 하였으나, 이로써 호남에 전통회화의 맥이 이어졌다. 더구나 전통화풍을 고수하였던 허백련과 해방 후 다시 전통화풍으로 회귀한 허건이 남도화단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함에 따라 남도화단은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전통회화의 고장이라는 뚜렷한 특색을 갖게 되었다. 한편 당시 화가들이 쉽게 도달하지 못했던 일본의 문전에서 입상한 화가들 중 호남화가들이 많았던 것은 기량이 뛰어난 화가들을 배출할 만큼 오랜 예술전통의 뿌리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난과 지방화가로서의 보이지 않는 소외감이 이들의 상승욕구를 부추겼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제강점기 화가들의 고민은 외압에 의한 것도 적지 않았다. 일제 후반기에 들어 일제는 침략전쟁을 미화하고 조선인의 징병을 독려하는 수단으로 서화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호남화가들 중 일부 화가들이 화필보국의 전람회에 참여하기는 하나 적극적인 친일화가들이 없었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는 남종화풍의 전통이 강한 호남 전통화가들은 산수화나 화조·사군자류를 주로 하였기 때문에 인물화가 주를 이루는 선동화의 특성과는 맞지 않았던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그에 더하여 아직도 중앙의 주류에서는 한 발 짝 떨어져 있었던 지방화단의 특성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what conflicts traditional painters in Honam area had in encountering new painting trends such as Japanese painting style or western painting and what influence the changes in painting styles they selected through internal conflicts had on their activities or trends of painting circles. The painters' thoughts on traditional painting in the Japanese Harsh Rule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ir activities. Huh Baek-Ryon who emphasized traditional painting style stopped presenting his painting to Joseon Art Exhibition which asked us to follow Japanese painting style to maintain his own style. Huh Lim who resisted against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intended to paint trendy painting innovated the tradition of colored painting and won awards in Japanese painting exhibitions. Jeong Un-Myon, who accepted Japanese painting style though his painting was based on traditional painting, won awards at national painting exhibitions to succeed in life. In this process, he had internal conflicts and a friction between Huh Baek-Ryon. His choi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his development as a painter.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was a temporary change to be a winner rather than his own choice. In accepting a new painting style, painters of Honam was relatively conservative. Therefore, the vein of traditional painting was connected and Honam area became a hometown of traditional painting, but it had light and shade of inheritance and conservatism of traditional painting. The reason why most of the painters who won awards at Japanese art exhibitions were from Honam area was that Honam had a deep root of artistic tradition and they might want to be winners because they felt isolated as they were poor local painters. Their trouble was partly derived from oppression. Japanese imperialism used painting and calligraphy to beautify their invasion and encourage conscription of Korean people in its late colonial period. Thus, painters with good sense resisted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and were engaged in nationalistic activities although some of them participated in Japanese exhibitions. It is assumed that such trend may be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painters in Honam are good at landscape paintings and flower and bird paintings well. Accordingly, they are not fit for propaganda paintings, because most of them are good at figure paintings. In addition, the trend has some influence with the special characters of provincial artists cir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