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대한민국에 있어서의 프랑스철학의 수용 및 번역의 문제를. 특히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의 경우를 통해 살펴본다. 프랑스철학 일반의 수용은 2010년 현재의 시점에서 길게 보아 100 여 년 남짓한 역사를 보인다. 비서구인으로서 우리는 프랑스 철학과 그것의 문제의식을 정확히 알아야 하며. 그 중핵에는 다름 아닌 번역의 문제가 놓여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드러나는 푸코 사상 수용 및 번역의 문제는 당연히 프랑스철학 및 철학 일반. 혹은 더 넓게는 우리나라 학문 일반의 문제와 맞물려 있는 문제일 수밖에 없다. 이에는 19세기 메이지 지식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서구어의 일본어 번역. 인근 한중(韓中) 양국의 수용 및 번역 상황. 현대 한국어에 있어서의 이들 용어의 정착 등 다양한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제 상황은 우리로 하여금 프랑스철학이라는 타자와 더불어 우리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틀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나 자신과 우리. 그리고 더 나아가 타자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오늘 우리의 일상ㆍ언어ㆍ학문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라는 중대한 문제가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과정에서 번역은 그 중핵을 담당하고 있다. 하이데거의 용어를 빌려 말하자면. 번역은 오늘 우리의 모든 철학과 학문에 대한 기초존재론을 구성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French philosophy in Korea after 1900. focusing on one eminent French thinker Michel Foucault(1926-1984). First of all. as non western thinkers. we. Koreans. should understand and see the broad problematizations and concepts of French philosophy and thoughts. In the midst of all these process. there lies translation. The problem of translation or reception of French philosophy in modern Korea should be viewed under the perspectives of a cultural transition phenomenon and of the wider problem of relationship between ordinary life and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view arises the need for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in general of western philosophy by Japanese thinkers of Meiji in 19th century. And this in turn asks for us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elements of our framework on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most of all. on ourselves. In all these processes and problematizations. translation constitutes the fundamental ontology of ourselves and our Wissenschaft to com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Wissenschaft. culture/civilization. reception of French philosophy. translation. history of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