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논문은 이와이 슌지의 영화 <릴리슈슈의 모든 것>을 중심으로 영화적 재현 속에 나타난 자살의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영화는 사춘기 소년 소녀들의 맹목적인 왕따, 학원 폭력, 원조 교제 등으로 얼룩진 병든 자화상과 그 안에서의 좌절과 고통을 담고 있다. 영화의 시각적 서사적 분석을 통해 논문은 사춘기의 불안의 상태로부터 비롯된 감상적이고 우울적인 정조가 이 영화의 주요한 정서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사춘기는 유년 시절에 있었던 근원적 상실 경험이 성징의 등장과 함께 새롭게 재(再) 문제화되는 시기이다. 그들에게 이 시기는 성적 욕구의 억압, 자유로움의 제한, 학업 성취의 압력, 친구 관계의 변화, 성숙과정이 요구하는 현실에 대한 이해 등이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갑작스러운 성숙에의 요구로부터 사춘기는 혼란의 상태에 놓여 지는데 이 상태는 아이가 어머니와의 분리로부터 좌절을 겪게 되었던 유아기의 상실의 상처에 대한 무의식적 심층의 불안이 귀환하는 것이고 그 속에서 어머니로부터 분리되는 아픔에 대한 대체물을 찾으려는 그들의 비현실적인 모색이 극화된 방식으로 상연되어 지는 시기이다. 논문은 이 영화 속에 나타난 감상과 우울의 문제를 주목하면서 성숙이란 우울과의 대화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영화가 자살의 충동적 욕구에 휩싸인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공감대 자체가 치유의 성과로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울과의 대화’라는 통찰 과정이 동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oblem of suicide represented by the film of Iwai Shunji, < All About Lily Chou Chou >. This film draws a grim picture of failure and suffering in the adolescence as blind outcast in a class, violence of school, and sexual relations with minor. Through the visuel and narrative analysis of this film, we notice that dominant features are affects sentimental and melancholic resultant of the adolescence's anxiety. The adolescence is by definition a period that the experience of the initial loss of baby is questioned, with the opening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 The separation from the 'parental cocoon' is crucia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dentity of the teenager, but there is a risk that it is transformed into tear when the child does not know which road to borrow and does not feel supported. The adolescence is in a state of confusion, because it is in the abrupt pressure of maturity. This pressure evokes the unconscious wound of the separation with the mother. For the defense, the adolescence looks for the substitute of the loss in a unreal and dramatic way. In this study, by noticing the problems of the sentimentality and depression, we claim that the maturity of the adolescence will come true in the acceptance of the loss and a dialogue with the depression. And if we use attentively this film for the therapeutic purpose, it is exploited for the affective links in the adolescence. However, it is important to work at the same time with the reflexive process as the dialogue with the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