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5~17세기의 女眞族에 관해 연구해야 할 영역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그 중 여전히 관심이 되고 있는 미개척 분야는 생산력이 미약하고 수렵과 채집경제를 우선으로 하던 그들이 어떻게 훗날 淸帝國을 건립하고 동아시아 질서를 수립하는 강국이 될 수 있었는가의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여진사회의 성장을 다원적 경제구조라는 시각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다원적 이라는 말은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사물을 형성하는 근원이 많음을 의미이다. 그렇다면 왜 여진경제를 多元的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여진경제는 조선과 명과 비교하여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조선과 명은 여러 경제 영역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농업과 상업이 중심이었다. 이해 비해 여진은 농업과 상업 이외에 교역과 약탈, 수렵과 채집 등이 농업사회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중요한 경제적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여진경제의 특징을 여진족 특유의 다원적 경제라고 정의하고 있다. 우선 그들이 수렵과 어렵 중심 사회에서 농업사회로 진입할 수 있었던 원인을 明․朝鮮과의 馬市貿易 등 다양한 교역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마시무역은 여진인들이 채집한 산삼, 모피, 말 등 농경민이 필요로 하는 상품과 여진족이 필요로 했던 철, 농구, 비단, 도자기, 식량 등이 상호 교환조건을 형성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여진인들의 토산물은 내부 소비 이외에 필수품을 농경사회로부터 수입하는 원초적인 힘이 되었다. 마시와 같은 교역은 여진사회가 선진적인 농업을 주변국으로부터 수입해 오는 지름길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여진사회가 농업사회로 진입한 이후에도 어렵과 수렵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다. 명대 여진족은 농구와 경우(耕牛) 등을 수입하면서 농업을 점차 확대시켜 나갔으며 미개간된 땅으로 농지를 확대시켜 나갔다. 여진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훗날 고도의 집약적 농업사회를 이룰 수 있었던 또 다른 면에는 교역이 있었다. 정상적인 교역을 통해 확보할 수 없었던 철과 같은 것은 밀무역을 통해 확보해 나갔다. 명과 조선의 변경에서는 여진지역에서 채집되는 초피와 인삼이 교역되면서 밀무역이 성행하였다. 여진족은 철제농구나 철을 수입한 이후 이것을 다시 제작해 많은 무기를 생산해 군사력을 강화시켜 나갔다. 여진족은 부족 간의 알력이나 명과 조선의 초무가 있을 경우 인구를 인솔하고 새로운 토지나 이주지를 찾아 이동하였는데, 이러한 이동은 기존의 정착지를 버리고 떠나야 하기 때문에 부족의 발전에 많은 장애를 초래하였다. 더구나 잦은 이동은 또 다른 정착지에서 인구의 확보라는 중대한 과제를 남겨놓기 때문에 농업기술과 노동력의 확보를 위해 약탈의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약탈은 재물을 확보하고 노동력을 구하는 또 다른 경제형태였다. 토산물은 교역시장으로, 교역시장은 여진사회에 농구와 기술, 철 등을 수입해 농업과 수공업, 그리고 상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최대 창구가 되었다. 농업의 발전은 더 많은 인구를 필요로 했으며 곧 이것은 약탈경제로 연결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이러한 경제구조는 다양한 경제영역이 상호 연결되면서 반복됨으로써 하나의 경제 네트워크가 되어 여진경제를 다원경제의 구조로 만들었고 이러한 다원경제가 15~17세기 여진경제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으며 훗날 여진이 청제국을 세우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되었다.


Jurchen society in the Ming Dynasty period was dependent on various economic forms including hunting, fishing, ranching, farming, trading and plundering, increasing its productivity and securing population. In 15th century, fishing and hunting took a significant part in the economy in general, but farming through trade with surrounding countries began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in the economy gradually. The period of Nurhachi unifying tribes from the late 15th century is considered as the period of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relatively fishing and hunting became less important. And, from the period of Nurhachi,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and surrounding population was plundered extensively to secure agricultural labor force. This method to secure population during this period was mainly plundering, and since the plundering of population became an important engine of economy in Jurchen society, an expression of Plunder Economy is also used. And, the trade with surrounding countries including the M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as essential to learn farming tools, iron and farming technologies required for farming. Putting everything together, we can see that fishing, hunting, farming, trading and plundering in Jurchen society in the Ming Dynasty period were systemat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In the economic form based on fishing and hunting, trading goods such as fur became an important means for Jurchen society to secure necessary products. And, they could obtain both the value of commodities and the exchange value for their indigenous products by visiting the M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to pay tributes or opening a horse market to exchange products. Trading was an important method for Jurchen society to improve their productiv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obtaining necessary farming tools and insufficient necessities of life. A problem which trading could not solve was securing population. A lot of population was required for developing into an advanced agricultural society, but trading could not solve this problem. Since Jurchen society had a low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according to its economic characteristics, Jurchen society supplemented their labor force through the plundering of population from surrounding nations. Especially, Nurhachi who established the Jin Dynasty in late Ming Dynasty period unified Jurchen tribes by force or attacked the frontier of the M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here military influence had not been reached, plundering population while unifying tribes. This plundering was a necessary element in Jurchen economy and plundered contributed significantly in improving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Jurchen societ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Jurchen society was not carried out in their independent economic boundary but a part of pluralistic economy formed through trading, plundering, hunting and fishing. Jurchen society could trade with surrounding nations only because they produced expensive fur obtained through hunting and fishing, and Jurchen society could buy necessary farming tools or cows through this trading. And, this could develop their trade economy and plunder economy. This means that if trading was suspended and they could not obtain necessary products, their agricultural productivity would have faced its limit and their overall economy could have been changed structurally. In this viewpoint, the Jurchen economy could be defined as the mutually and systematically connected pluralistic economic structure. This pluralistic economic structure continued between 15th century and 17th century, becoming the economic and military base for the Ji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