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마을공동체를 위한 동신의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그 대상은 홍천군 내면에서 전승하고 있는 동제의 주신 권대감신이다. 논의 방법은 내면사람들이 향유하는 구비문화에 나타난 사실을 근거로 하였다. 구비문화는 그 지역 사람들의 의식을 가장 잘 읽을 수 있는 바탕이기에 논의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이다. 논의과정은 세 단계로 나누었다. 첫째는 권대감이 홍천군 내면에 와서 공동체 문화형성을 위한 동신으로 좌정하고, 둘째는 그가 마을신이 된 후 마을사람들은 그를 구심점으로 마을공동체를 유지ㆍ강화하고, 셋째는 새로운 문화수용에 따라 마을사람들의 의식이 변함으로써 갖는 갈등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따라서 이 논의는 기존에 선학들이 연구해 왔던 실존인물의 신격화 과정을 확대하여 유지와 변화까지 다룬 것이다. 홍천군 내면에 전승하는 권대감제는 지역단위로 이뤄지는 고유신앙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좋은 모델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동제의 수용과 유지ㆍ강화 및 갈등에 따른 해체와 계승의 문제를 푸는 데 있어 새로운 사실을 얻을 수 있었다.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local deity for a community is researched in this thesis. The subject is a deity named "Gwon Daegam" succeeded by the people at Naemyeon in Hongcheon. A spiritual center of identity is needed as the growing of a community. At Naemyeon in Hongcheon, "Gwon Daegam" was accepted as this center. "Gwon Daegam" was the cultural hero like Hwanwoong or King Suro. He had magical power and did great actual achievements. After his death, the local community held a periodical ceremony missing the cultural hero. "Gwon Daegam" functioned as the center of unity of the community after his local deity. The community kept and enforced the ceremony by focusing the spiritual power and by following his lifestyle. These effects are presented in the culture of folklore as the happiness and punishment, and gratitude for the abundance. As time goes by, several kinds of new cultures shook the community. As the way of thinking became diverse, it was not easy to keep the community unified. This local ceremony couldn't do social function well as a kind of religion. So there are three types of remnants. Dismantled by, Revival among, and Survival from the cultural sh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