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절공 신숭겸은 고려개국공신이며 평산신씨 시조로, 후삼국 시대인 927년 신라 공산(公山, 현 팔공산) 동수(현재 지묘동)에서 고려의 왕건 군사와 후백제의 견훤군이 치른 전투에 참전하였다가 견훤이 왕건군을 기습 공격해 태조 왕건이 매우 위급하게 되었을 때, 왕건을 피신시키고 역전하다가 전사한 인물이다. 이러한 신숭겸의 代死 忠節은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면서 萬古不變 충신의 표상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지속적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장절공 신숭겸의 묘가 춘천에 만들어지게 된 사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록 고증이 어렵지만 대체로 전라도 곡성 출신으로 춘천으로 이주해 거주하던중 공산전투에 참전해 전사함으로써 그의 거주지인 춘천에 安葬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춘천의 신숭겸 유적지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조사보고 이외에는 특별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장절공 신숭겸묘의 조성 경위와 관리, 관련 유적지가 갖는 문화사적인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춘천의 신숭겸 유적지가 문화유산으로써 갖는 몇가지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代死之節’의 인물로 일컬어지는 한국사에서 대표적인 충신 유적으로, 대구 공산전투에서 극적으로 戰死하는 과정과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태조 왕건이 목수에게 명하여 머리와 얼굴을 새겨 만들고, 관복(官服)을 갖추어 입혀서 장사지냈다거나 金으로 태사의 얼굴을 주조해 몸체와 합하여 안장하였다(鑄金爲太師面合體而葬)’라고 하는 것은 오랜 세월동안 끊임없이 온 국민들에게 회자되어 온 이야기로 그것의 사실여부와 관계없이 충신의 표상적인 인물로 각인되어 왔으며 춘천의 장절공 신숭겸묘와 대구 표충사 등의 유적지는 그 이야기와 관련된 가장 중심적인 유적지이다. 둘째, 장절공 신숭겸묘는 一人三墳의 특이한 墓制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一人三墳 형태의 묘는 전국적으로 이 신숭겸묘가 유일하다. 이와 같이 특이한 형태로 조성되게 된 사유에 대해 그간에 전해오는 자료를 종합하면 금두상을 제작해 매장하는데 따르는 도굴 방지설과 夫人墓 倂置說이 제기되어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설이 옳은지는 알 수 없지만 이미 오랜기간 구전되어 오면서 금두상 제작 매장설은 널리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여러 차례 도굴시도가 있었던 것도 바로 세간에서 금두상 제작이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두상을 만들어 安葬하였을 개연성은 충분히 있지만 현재로서는 실제 금두상이 확인되어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전해오는 이야기가 이미 거의 사실화 되어 있고, 천여년 전 인물의 극적인 이야기와 연결된 그 유적이 현존한다고 하는 점이다. 셋째, 최초로 묘역 옆에 願堂이 설치된 곳이라고 하는 점이다. 1654년(효종 5) 安弘重이 쓴 <追遠寺記>를 보면 “묘역을 수호하는 것은 樵火를 금지시키는 것이니 절을 지어 승려를 모집하는 것 만한 것이 없다. 그런 까닭에 우리나라 풍속으로 장절공 신숭겸 때 그 제도를 처음 만든 이래 유명한 이의 묘역에 절이 없는 곳이 없다.”라고 하고 있다. 비록 현재는 그 원당터가 어느 곳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재실터가 원당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최초의 願堂 사례라고 하는 점에서 문화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넷째, 고려시대 인물로는 드물게, 더구나 유학자가 아닌 인물이 서원의 主享으로 세 곳에나 봉안되었다는 점이다. 춘천에는 도포서원이 창건되었고, 곡성에 덕양서원, 평산에 동양서원이 창건되어 각각 신장절공 위패가 봉안되었다. 물론 이 서원 창건에 문중 후손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지만 신숭겸이 충신의 표상적 인물이라는 점이 무엇보다 크게 작용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장절공 신숭겸묘는 전국적으로 음택명당터로 가장 잘 알려진 곳이라는 점이다. 태조 왕건의 특별한 배려로 천하에서 얻기 어려운 명당터를 선정해 안장하였다고 전해 오며, 실제 신장절공묘가 자리잡고 있는 터는 풍수의 기본 요건에 완전하게 부합하는 곳으로 지금도 많은 풍수연구가들이 찾아오고 있다. 여섯째, 1805년 건립한 신숭겸신도비가 서예사적으로 매우 큰 가치를 갖는다는 점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도비는 비문은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 혹은 4대 명필가로 알려진 紫霞 申緯가 썼다. 신위의 서화가 여러 점 남아있지만 이 신도비문처럼 유려한 행서체로 쓴 것은 거의 없다. 특히 이 신도비문은 자하선생이 30대 중반의 가장 패기있는 시기에 쓴 것으로 특유의 힘이 넘치는 행서체로 썼다. 신위는 董其昌體를 잘 썼지만 또다른 개성을 보여주는 行書體 금석문이다. 2010년 신위의 筆跡은 허목, 송시열, 송준길, 이광사, 강세황, 정약용, 김정희 등 조선후기 명필가 18명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일괄공모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춘천에 소재하는 장절공 신숭겸 유적지와 그 관련 유적지는 단순히 개인 분묘와 추모 시설이라는 것을 넘어서 여러 측면에서 역사문화사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The general Shin Sung-gyeom is a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Goryeo and the founder of the Pyeongsan Shin clan. In 927 during Later Three Kingdoms period, Shin Sung-gyeom attended the combat in Dongsu(present Jimyo-dong) of Gongsan (公山, present Palgongsan) where Wang Geon's forces and Gyeon Hwon's forces fought against each other. When Wang Geon was in the aftermath of a rout of their forces by Hubaekje, Shin Sung-gyeom let Wang Geon escape the battlefield and Shin and the remaining army fought bravely against the Hubaekje army but eventually Shin was killed by the enemy. As such Shin's fidelity was well-known by many people, he became a symbol of faithful retainer and has been respected continuously. There have been no special study except for fragmentary survey report about remains of general Shin in Chuncheon. Accordingly, the study investigated construction process and management of tomb for general Shin Sung-gyeom, characteristics in cultural history of related remains. Several characteristics as cultural legacy that remains of general Shin Sung-gyeom have are as follows. First, This is a representative remains of faithful retainer in Korean history. There are many historical stories transmitted until today. Tomb of general Shin Sung-gyeom in Chuncheon and remains of Pyochungsa shrine in Daegu etc. are most central remains related to the stories. Second, Tomb of general Shin Sung-gyeom has unique form with three mounds for one man( 一人三墳). Tomb of general Shin Sung-gyeom is the only one with such a form in Korea. Third, Votive shrine(願堂) which was built to pray for happiness in the afterlife was founded near Shin's tomb for the first time. Although the exact whereabouts of votive shrine is clearly not known, area near shrine located below graveyard might be site for votive shrine. It has a meaning in cultural history that this is the first example of votive shrine. Fourth, It is a rare case as a figure in Goryeo. The figure who is not Confucians was enshrined as a main object for prayer in three private academies such as Dopo in Chuncheon, Dukyang in Gokseong, and Dongyang private academy in Pyeongsan. Fifth, Tomb of general Shin Sung-gyeom is most known as a auspicious land for site for constructing a tomb in Korea. It is told that by special consideration of Taejo Wang Geon, really rare auspicious land was selected and he was buried there. Tomb of Jangjeolgong Shin Sung-gyeom is located in the place completely fit to basic requirement of geomancy so that many researchers of geomancy visit there still today. Sixth, Monument of general Shin Sung-gyeom founded in 1805 has a very large value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As well-known, epitaph of the spirit-path was written by Jaha Shin Wi(紫霞 申緯) who is known as one of the great three painters for a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or the great four master calligraphers in Chosun dynasty. Several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f Shin Wi are extant to this day but there are nearly no works that show elegant running style as epitaph of the spirit-path. Thus, remains for Jangjeolgong Shin Sung-gyeom in Chuncheon and related remains hav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in various aspects going beyond simple individual tomb and memorial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