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미 세계 인구의 반 이상이 도시적 환경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그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견된다. 향후 어떠한 형태의 도시화 경향이 나타나든 한 가지 명확한 것은 우리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도시사회에 살고 있고, 도시에서의 삶은 이제 피할 수 없는 삶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본 연구자들은 “과연 현대 도시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행복한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세계적 도시학자 글레이저가 도시의 삶이 우리를 보다 부유하고, 현명하고, 더 많은 녹지를 제공하고, 더 건강하며, 그리고 더 행복하게 만든다고 주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도시가 안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을 결코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행복하다면 얼마나 행복한지? 도시가 그들을 행복하게 한다면 그러한 행복을 가져오는 요소는 무엇인지? 도시에서의 사람을 더 행복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우리가 도시에서의 삶을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한다면 필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의문에 해당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현재 도시에서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하는 의문에 대해 답을 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한편 오늘날의 도시는 그 규모 면에서나 구성 면에서 너무나 방대할 뿐 아니라 복잡다기한 양상을 띠고 있다. 그러므로 어느 한 가지 측면에서 도시 문제를 접근하고 진단하기에는 이미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본 연구는 현대도시를 유토피아를 향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느낌과 동시에 이를 제학문 간의 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특히 본 연구가 목적으로 삼고 있는 도시 구성원의 행복한 삶이란 어느 한 가지 요소의 충족만으로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요원한 지향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는 인문학적․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종합하여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즉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서는 과연 현대도시에서 행복하다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점에 대해 개념적 정의를 내릴 수 있고,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해서는 도시민의 행복함에 대해 사회 경제적 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정책적으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가를 체계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More than a half of the world population are already living in the urban environment in these days. With current rate of increase for city population, it is very possible prediction that the rate of population in the city will be growing more sharply. Whatever forms the trends of urbanization are, it is going to be very possible case that we, human-beings will largely live in urban environment in the first time of human history and the life of urban area can be inevitable for most people in the future. With this kind of diagnosis, this study asks a question, "Are those who live in the city happy?". Because it is also undeniable that urban life has a lot of realistic questions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Glaeser, the renowned urban theorist, argues that urban life provides us with more rich, wise, and green basis, so it makes us more healthy and happier than ever.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questions such as "If the urban life provides happiness to us, how much is it?", "What kinds of factors contribute to happiness of urban life?" and "What is more necessity for making those in the city happier if city makes them happy?". The solutions of these questions are very necessity if we should live in the urban environment. That is wh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le solutions of what we should do for happy life in the urban environment with given contexts. On the other hands, recent city problems have complex aspects in terms of scale as well as structure. This study realizes that it has limitation that approaching to and exploring city problems with the only specific asp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developing modern city into Utopia and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s for related aspects are more helpful to confirming eudiaimonia conditions in the city because it can not be defined a specific condition which satisfies residents' life in the city. Approaching to given context with both humanistic and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s, this study can challenge alternatives to the eudiaimonia conditions for city residents. Firstly, in humanistic approach, this study can define what is happiness in modern city life. Then, in social scientific approach, it can more systematically figure out how much social-economical aspects can affect happiness of city residents and what kind of political efforts will be required for providing eudiaimonia conditions to city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