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이산략』은 18세기 초 이형상이 저술한 일본지리지이다. 그는 동래부사 시절 왜관 설치에 따른 여러 가지 폐단을 겪었다. 이런 경험은 일본에 대한 경계의식을 불러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질적인 외교업무 지침서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만들었다. 『동이산략』은 이전 지리지는 물론 중국 문헌까지 광범위하게 참고하였다. 다양한 문헌을 섭렵한 결과 선별된 정보는 일본 지리와 적의 전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저자의 교정을 거쳐 수록되었다. 아울러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왜관 및 쓰시마에 대한 기술이 보강되었다. 이는 임진왜란 이후 작성된 각종 문서들과 왜관을 통한 전문(傳聞)을 바탕으로 정리된 것들이다. 개인적인 저술임에도 이보다 늦은 시기 사역원 역관들을 중심으로 편찬된 『통문관지』보다 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점에서 이형상의 탁월한 정보 수집 능력을 알 수 있다. 『동이산략』은 변방 대비 뿐 아니라 새로운 의례까지 망라한 종합적인 일본 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일본 사행 경험 없이 동래부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지리지이지만 풍부하고 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지 작성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The Tongilsallyak is an early 18th century text of Japan’s geography written by I Hyŏngsang. Having experienced many travails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a Japan House during his time as commander of Tongnae instilled a cautionary attitude towards Japan as well as the need for a practical guide book for diplomacy. The Tongilsallyak referenced a wide range of Chinese sources, proofread and edited by the author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Japan’s geography and war strategies. In addition, it was supplemented with descriptions of Tsushima Island and the Japan House out of actual necessity. These were based on various documents written after the Imjin invasion and secondhand accounts from the Japan House. These individual accounts, which contain more information than the later compiled T'ongmun'gwanji for government interpreters, show the superior information collection skills of I Hyŏngsang. Not only did the book contain information for border defense, but it also inclu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new Japanese ceremonies. Despite having no expe- rience attending a diplomatic mission, the fact that an accurate and rich geographic guidebooks was written based on his experience as commander of Tongnae signifies its importance as part of a new trend in such guid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