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미국의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인 토니 모리슨의 2012년 최신작 『집』을 통해 현대인들의 트라우마를 분석해보고 이러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치유할 수 있게 하는 원천이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정과 공동체의 결속력이라는 모리슨의 철학적 함의를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모리슨이 작품 주인공의 서사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는 수사학적 전략으로 함축적인 시어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인칭의 서술 방식의 변화를 모색하고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주인공의 의식을 이텔릭 문체로 표현함으로써 독자들이 소설에 더욱 공감할 수 있도록 미학적, 수사학적 언어 장치를 구사하고 있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모리슨의 『집』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1863년 링컨의 노예해방선언 이후 미국인이라는 시민권과 인종차별금지를 법적으론 보장받지만, 100여년이 지난 후에도 백인들과 동등한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는 1950년대 그들의 지난한 삶의 애환을 담고 있는 서사이다. 즉, 이 작품은 노예와 별 다를 바 없이 열악한 경제적, 사회적 여건 속에서 삶을 감내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부모세대와 교육의 부재와 물질의 결핍으로 정신적, 물질적 트라우마를 겪는 그들 자녀세대들의 타자화된 비존재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자존감있는 온전한 사회인으로서 살아가게 되는 여정을 그린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의 서사이다. 글의 중심축은 주인공 프랭크가 결핍과 트라우마의 공간인 고향을 떠나 한국 전쟁 참전 후 전쟁의 비극적인 참상 속에서 고향에서 보다 더욱 더 극심한 트라우마를 겪고 다시 찾은 고향에서 온전한 사회인으로서 자존감을 형성하는 젊은 청년의 성장소설이다. 모리슨은 주인공 프랭크의 고백의 수사학을 통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노예제도의 폐지 후에 겪는 경제적 궁핍과 더불어 그들을 위한 학교 하나 없었던 당시의 열악한 사회정치적 상황을 재현해 보인다. 또한 작가는 프랭크의 서사를 한 축으로, 고향에서 사랑받지 못하고 타자화된 그의 여동생 씨가 고향을 떠나 자본주의적 속성으로 가득 찬 도시 생활 속에서 겪는 트라우마의 서사를 비애의 수사학을 통해 씨실과 날실처럼 교직시켜 탄탄한 구성력이 돋보이는 글쓰기 전략을 구사한다. 모리슨은 이 남매들의 트라우마를 담은 서사를 통해 전쟁의 잔혹성과 자본주의적 악의 속성, 인종차별의 폐해를 지적함과 동시에 트라우마를 겪은 이들이 정신적으로 성숙한 개인이자 책임감 있는 사회인이 될 수 있도록 보살펴주고 이끌어 줄 수 있는 치유의 공간으로서의 가정과 사회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모리슨은 최신작 『집』을 통해 개개인들의 역경 속에서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한 개인과 이들을 돕는 사회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함께 사랑하며 살아가는 인류평등주의적인 작가의 철학적 함의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이 모리슨의 작품 『집』 속에 나타난 작가의 철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작가가 주인공들의 트라우마를 이탤릭체를 사용하거나,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오가는 독백체로 서술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주인공들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사학적 서술기법을 보이고 있음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이 작가의 서술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기틀을 마련해 주리라 사료된다. 이를 통해 논자는 모리슨이 이 작품 속에 소설의 형식과 내용면에서 그녀만의 완벽한 소설미학을 구현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작품 연구가 인문학이 죽어간다는 현 시대에 인문학이 물질적 풍요 속에 정신적 빈곤을 경험하는 우리 현대인들의 자존감을 회복시켜 주는 치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되길 소망해 본다.


In this paper, My goal is to elucidate core concepts like trauma and healing in Toni Morrison's new novel in 2012, “Home,” a story of Frank Money, a traumatized Korean War veteran who returns to the U. S. in the 1950s. I explore that Toni Morrison, a truly egalitarian, posits her philosophical ques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olidarity of community as well as the self-esteem of individual in this novel. To convey her perspective on these contents, I go on to examine rhetoric, the art of using language effectively and aesthetically, in terms of her writing strategy. First, I examine that Morrison conveys a traumatized protagonist from the Korean war, Frank's psychology to her readers with the rhetoric of confession through monologue by employing italicized writing style to be indicative of his psychological chaotic state as a part of Toni Morrison's writing strategy. Home is the odyssey of Frank, a traumatized protagonist from the Korean war, and Cee, his younger sister, another traumatized protagonist from the capitalistic city. After coming back to their hometown, they realize that their hometown is the best place in the world where they are so relieved and secured. Futhermore, their home is the true place that provide them with self-reliance and self-esteem. In this context, Toni Morrison elaborates how they are characterized as traumatized victims of war, capitalism as well as racial disparity through rhetoric and poetic stylistic technique. In conclusion, Toni Morrison lays out the value of African American communities which help one another to heal their trauma and have a sense of self-esteem. She also employs the rhetoric of confession, sorrow, persuasion in terms of writing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