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다도해의 도서성(島嶼性)과 관련해, 유배의 역사를 들어 고립과 단절의 이미지를 언급하기도 하고 국제 교류나 해양영웅의 사례를 들어 개방성을 거론하는 이도 있다. 또한 막연하게전통이 잔존하는 지역으로 간주하고 토속성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어느 경우건 현지 주민들의 생활상을 중심에 놓고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다도해의 문화적 다양성과그 배경을 주목하고, 주민들이 꾸려온 일상생활․어로활동․교역활동의 네트워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상생활 속의 네트워크는 나룻배를 통해 볼 수 있다. 나룻배는 섬사람들이 육지를 오갈 때일상적으로 사용하던 배다. 수많은 섬이 흩어져 있는 다도해에는 해역 단위로 나룻배 권역이 구축돼 있었다. 특히 연안지역 섬들은 나룻배를 통해 인근 섬, 육지 포구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었다. 나룻배 권역은 다도해의 섬들이 고립되지 않고 긴밀하게 연결돼 있음을 보여준다. 다도해에는 어업활동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네트워크가 형성돼 있었다. 대외적인 네트워크는 원정 어로활동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작동되었다. 파시 따라 蝟島에 찾아들던외지의 상선과 어선․어민들이 제당 중수에 참여한 내용을 기록한 위도 대리의 <원당중수기>에서 그 정황을 볼 수 있다. 여러 지역 인사들이 마을 제당을 개축할 때 기부한 것에서 보듯이 어로활동을 매개로 한 네트워크가 긴밀하게 유지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도해에서 이루어지던 교역활동은 생산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어업과 鹽業을 매개로 한 교역 네트워크가 잘 갖추어져 있고, 각 섬과 연근해 포구,그리고 지역 간에 연결망이잘 구축돼 있었다. 그리고 규모가 큰 교역활동이 이루어질 경우 전국적인 네트워크가 작동되기도 했다. 외지의 투자자와 상선․어선들이 마을 당제에 매년 주기적으로 기부했음을 보여주는 문서를 통해 교역 네트워크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Examining the researches on the insularity of the Archipelago, there are accounts that mention isolation and severance due to the history of exile and those that deal with openness because of the cases of marine heroes and international trade. In addition, there are those who focus on indigenousness by considering the region as an area where tradition remains in an obscure manner. In any cas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focus on the life of the resi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twork of everyday life, fishery activities, and trade activities led by the Archipelago residents. Network in everyday life can be observed in boats. Boats have be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islanders to go to the mainland. In the Archipelago where numerous islands are scattered around, the boat zones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waters. Especially, the costal island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islands and mainland ports. Boat zones show that the islands in the Archipelago are not isolated but closely connected. There are various networks established in the Archipelago with the fishery activities at the core. External network has opera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expedition fishery. Those activities can be tracked in the <Wondangjungsugi> of Uido Daeri which recorded the participation in the construction of temples by the commercial ships from outside which came to Uido for shipboard markets and the fishermen. As shown in the donation from figures from different reg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town temple, networks with the fishery activities as the vehicle have been very active. Trade activities in the Archipelag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roduction activity. There was a trade network with fishery and the salt industry as the vehicle,and the islands and neighboring ports were well-connected. In the case of a large trade activity, nationwide network has operat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trade network can be learned through documents which showed regular donation to the town Dangje by the external investors, commercial ships, and fishing boats.